베스트메디컬 탐방 - 고도일병원
![](https://img.hankyung.com/photo/201410/01.9206479.1.jpg)
최근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 정보기술(IT) 제품을 오랫동안 자주 사용하는 현대인들이 목디스크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척추는 크게 목, 등, 허리 세 부위로 나눠진다. 목은 7개의 뼈로 이뤄지고 세 부위중 운동 범위가 가장 크다.
○잘못된 자세가 원인
![고도일 원장](https://img.hankyung.com/photo/201410/01.9209231.1.jpg)
목디스크가 발생하는 가장 큰 원인은 잘못된 자세다. 특히 컴퓨터를 많이 사용하는 직장인이나 책상 앞에서 긴 시간을 보내는 학생들에게 많이 나타난다. 고개를 앞으로 쭉 빼거나 숙이는 자세를 오래 유지하면 목뼈 주변의 근육이 경직되면서 목뼈가 C자형이 아닌 일자형으로 변형돼 목뼈에 무리가 갈 수 있다. 구부정한 자세나 높은 베개를 베는 습관 역시 목디스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통증 심할 때 전문의 찾아야
목디스크는 평소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으로 예방이 가능하다. 컴퓨터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할 때는 목을 많이 숙이지 않도록 컴퓨터 모니터의 높이를 눈높이에 맞추고, 한 시간에 한 번씩은 스트레칭으로 경직된 근육을 이완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높은 베개를 베지 않고, 앉을 때 등받이에 허리를 기대는 습관을 들이면 목이 일자형으로 변형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미 목디스크가 진행 중이라면 전문의의 도움을 받아 적극적으로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부분 목디스크는 약물치료 및 물리치료와 같은 보존적 치료를 통해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견디기 힘들 만큼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비수술 요법을 통해 목디스크를 치료한다.
○비수술적 치료 가능
![](https://img.hankyung.com/photo/201410/AA.9204242.1.jpg)
목디스크를 치료하는 대표적인 비수술 요법으로는 경추(목뼈) 신경성형술을 들 수 있다. 경추 신경성형술은 주삿바늘이 달린 지름 1㎜ 미만의 특수 카테터(관 형태의 의료기구)를 이용해 척수 및 척추 신경이 지나가는 경막외강 내에 유착방지효소와 항염증제를 주입해 통증을 치료하는 시술이다. 통증·전신마취·흉터·출혈·수혈이 거의 없기 때문에 수술을 두려워하거나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들에게 부담이 덜하다.
목뼈에는 중요한 신경들이 자리해 있다. 때문에 더욱 정밀하고 세심한 치료가 필요하다. 경추 신경성형술은 실시간 영상 장비인 이동형 X선 투시 촬영장치(C-Arm)로 환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이뤄진다. 수술을 하지 않아도 문제점을 정밀히 진단하고 정확한 부위를 치료하기 때문에 경추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안전하게 통증을 개선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고도일 고도일병원 원장은 “평소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습관을 들여 목디스크를 사전 예방하는 것이 척추 건강을 유지하는 데 바람직하다”며 “이미 디스크가 진행되고 있다면 증상을 방치해 더욱 큰 화를 부르기보다는 비수술 요법 등의 적극적인 치료를 통해 통증을 완화하고 신경 주위의 유착을 풀어주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이준혁/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