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미래 바꿀 핵심기술 찾아라"…구본무의 4조 프로젝트 가동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 마곡동 'LG사이언스파크' 기공식
축구장 24개 크기에 연구인력 2만5000명 집결
원천기술·융복합 연구로 '창조적 혁신' 추구
축구장 24개 크기에 연구인력 2만5000명 집결
원천기술·융복합 연구로 '창조적 혁신' 추구
‘LG사이언스파크’는 LG그룹의 미래를 결정하는 연구개발(R&D)의 중핵 역할을 하게 된다. ‘미래 먹거리’를 발굴하기 위해선 R&D 역량을 혁신적으로 끌어올려야 한다고 강조해 온 구본무 LG 회장의 의지를 담은 프로젝트로, 총 4조원을 쏟아붓는다.
LG는 2020년까지 이곳에 첨단 융복합 연구단지를 짓고 LG전자, LG화학, LG생명과학 등 10개 계열사 2만5000명의 연구인력을 집결시켜 LG의 미래를 이끌 핵심 원천기술과 융복합 연구를 진행한다는 전략이다.
구 회장도 이날 “기분이 좋다”고 기공식 소감을 밝히며 “(사이언스파크는)전자, 화학, 통신, 그리고 에너지와 바이오 등 다방면의 두뇌들이 모여 창조적 혁신을 추구하는 우리나라 최대 융복합 연구단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LG트윈타워 2배 면적
LG사이언스파크는 일단 규모 면에서 국내 연구단지 중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부지 면적만 약 17만㎡(5만3000평)로 축구장 24개 크기와 맞먹는다. 2017년까지 1단계, 2020년까지 2단계로 지상 9~10층짜리 연구동 총 18개가 들어선다. 건물 연면적 합계는 축구장 152개 넓이와 맞먹는 111만㎡(33만7000평)에 달한다. 이는 현재 LG그룹 최대 R&D 기지인 LG전자 서초동캠퍼스의 9배, LG그룹 본사인 여의도 LG트윈타워 연면적의 2배 크기다.
2020년 이후 이곳에 상주하게 될 연구인력 2만5000명은 현재 LG그룹 전체 R&D 인력 3만3000명의 75%에 해당하는 숫자다. 그룹 R&D 인력 대부분을 이곳에 모으겠다는 의미다. LG는 사이언스파크 주변에 외국 손님들을 맞을 수 있는 비즈니스 호텔을 짓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LG그룹 관계자는 “전 세계적으로도 단일 그룹이 이처럼 방대한 연구단지를 조성한 사례는 극히 드물다”고 말했다.
◆‘한국판 하이테크캠퍼스’
LG사이언스파크의 핵심 임무는 LG그룹의 미래 먹거리 발굴이다. LG 측은 “1~2년 내 승부를 봐야 하는 제품은 기존 연구소에서 진행하고 사이언스파크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핵심 원천기술과 융복합 연구를 책임지는 식으로 역할 분담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LG는 현재 전국에 30개가량의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는데 단기간에 상품화가 필요한 연구인력을 제외한 나머지 연구인력은 마곡 사이언스파크로 모을 방침이다. 또 완공 시점인 2020년 이후에는 신규 연구인력도 대폭 충원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정보기술(IT), 생명공학(BT), 나노기술(NT), 친환경기술(GT)을 아우르는 융복합 연구에 초점을 맞추겠다는 구상이다.
구 회장도 이날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지고 신흥국 추격이 거세지는 상황에서 예전의 성공 방식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며 “산업 간 경계를 허무는 창의적 발상으로 획기적인 고객 가치를 만들어야 새로운 도약, 발전이 가능하다”고 융복합 연구를 강조했다.
LG의 이 같은 시도는 네덜란드의 대표적 융복합 단지인 하이테크캠퍼스(HTCE)와 닮은꼴이다. 에인트호번에 있는 이 센터는 75개국 125개 기업 연구소 인력 1만명이 모여 융복합 연구를 진행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다만 마곡 사이언스파크는 단일 그룹의 융복합 연구단지라는 게 차이점이다.
지리적 위치로도 유능한 인재를 유치하기 안성맞춤이다. 서울 여의도 LG그룹 본사와 승용차로 20분 거리인 데다 인천공항과도 가까워 해외 연구인력과의 교류에 유리하다.
LG는 2011년 서울시가 마곡지구 토지를 분양할 때 대기업 용도로 배정된 부지 23만㎡를 모두 사겠다고 신청할 만큼 의욕적이었다. 구 회장도 평소 “마곡에 최고의 근무 환경을 조성해 연구원들이 즐겁게 일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해왔다.
주용석/남윤선 기자 hohoboy@hankyung.com
LG는 2020년까지 이곳에 첨단 융복합 연구단지를 짓고 LG전자, LG화학, LG생명과학 등 10개 계열사 2만5000명의 연구인력을 집결시켜 LG의 미래를 이끌 핵심 원천기술과 융복합 연구를 진행한다는 전략이다.
구 회장도 이날 “기분이 좋다”고 기공식 소감을 밝히며 “(사이언스파크는)전자, 화학, 통신, 그리고 에너지와 바이오 등 다방면의 두뇌들이 모여 창조적 혁신을 추구하는 우리나라 최대 융복합 연구단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LG트윈타워 2배 면적
LG사이언스파크는 일단 규모 면에서 국내 연구단지 중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부지 면적만 약 17만㎡(5만3000평)로 축구장 24개 크기와 맞먹는다. 2017년까지 1단계, 2020년까지 2단계로 지상 9~10층짜리 연구동 총 18개가 들어선다. 건물 연면적 합계는 축구장 152개 넓이와 맞먹는 111만㎡(33만7000평)에 달한다. 이는 현재 LG그룹 최대 R&D 기지인 LG전자 서초동캠퍼스의 9배, LG그룹 본사인 여의도 LG트윈타워 연면적의 2배 크기다.
2020년 이후 이곳에 상주하게 될 연구인력 2만5000명은 현재 LG그룹 전체 R&D 인력 3만3000명의 75%에 해당하는 숫자다. 그룹 R&D 인력 대부분을 이곳에 모으겠다는 의미다. LG는 사이언스파크 주변에 외국 손님들을 맞을 수 있는 비즈니스 호텔을 짓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LG그룹 관계자는 “전 세계적으로도 단일 그룹이 이처럼 방대한 연구단지를 조성한 사례는 극히 드물다”고 말했다.
◆‘한국판 하이테크캠퍼스’
LG사이언스파크의 핵심 임무는 LG그룹의 미래 먹거리 발굴이다. LG 측은 “1~2년 내 승부를 봐야 하는 제품은 기존 연구소에서 진행하고 사이언스파크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핵심 원천기술과 융복합 연구를 책임지는 식으로 역할 분담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LG는 현재 전국에 30개가량의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는데 단기간에 상품화가 필요한 연구인력을 제외한 나머지 연구인력은 마곡 사이언스파크로 모을 방침이다. 또 완공 시점인 2020년 이후에는 신규 연구인력도 대폭 충원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정보기술(IT), 생명공학(BT), 나노기술(NT), 친환경기술(GT)을 아우르는 융복합 연구에 초점을 맞추겠다는 구상이다.
구 회장도 이날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지고 신흥국 추격이 거세지는 상황에서 예전의 성공 방식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며 “산업 간 경계를 허무는 창의적 발상으로 획기적인 고객 가치를 만들어야 새로운 도약, 발전이 가능하다”고 융복합 연구를 강조했다.
LG의 이 같은 시도는 네덜란드의 대표적 융복합 단지인 하이테크캠퍼스(HTCE)와 닮은꼴이다. 에인트호번에 있는 이 센터는 75개국 125개 기업 연구소 인력 1만명이 모여 융복합 연구를 진행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다만 마곡 사이언스파크는 단일 그룹의 융복합 연구단지라는 게 차이점이다.
지리적 위치로도 유능한 인재를 유치하기 안성맞춤이다. 서울 여의도 LG그룹 본사와 승용차로 20분 거리인 데다 인천공항과도 가까워 해외 연구인력과의 교류에 유리하다.
LG는 2011년 서울시가 마곡지구 토지를 분양할 때 대기업 용도로 배정된 부지 23만㎡를 모두 사겠다고 신청할 만큼 의욕적이었다. 구 회장도 평소 “마곡에 최고의 근무 환경을 조성해 연구원들이 즐겁게 일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해왔다.
주용석/남윤선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