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정장에 손놀림만 빨라진 증시…하루거래액 작년 추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달 외국인 매도세와 함께 국내 주식시장에 조정장세가 이어지는데도 거래대금은 꾸준히 늘고 있다.
급등락이 반복되자 시장 대응을 위해 손절매나 추가 하락을 예상한 차익매매만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6일 금융투자업계와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4일 현재까지 10월중 코스피·코스닥시장의 하루 평균 거래대금은 6조7000억원에 달하면서 지난해 4월(6조9000억원) 이후 가장 많았다.
이번 증가세는 지난 7월 이래 넉 달째 이어진 것이다.
월평균 하루 거래대금은 지난해 12월 4조6000억원으로 저점을 찍고선 올해 들어 1~6월 5조3000억~5조6000억원에서 등락하다가 코스피지수가 2100에 육박하던 7월에 10개월 만에 6조원대로 올라섰다.
이어 8월에 6조3000억원을 넘더니 9월엔 6조6000억원에 육박했다.
이에 따라 올해의 연평균 일 거래대금은 지난주말 현재 5조8400억원으로 늘며 지난해(5조8200억원)보다 많아졌다.
그러나 2012년(6조9000억원)보다 1조원 넘게 적고 역대 최대치인 2011년(9조1000억원)에는 한참 못미치는 규모다.
전문가들은 조정장세에서의 거래대금 증가는 시장 변동성이 커지고 추가 하락을 예상한 차익시현이나 손절매가 늘었기 때문일 수 있다고 봤다.
임노중 아이엠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거래대금 증가는 상승국면에선 긍정적이지만 하락구간에선 그렇지 않을 수 있다"며 "아직은 바닥이라고 보기 힘들고 부정적 요인이 더 많은 상황이므로 대형주 손절매가 늘어난 영향일 수 있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증권금융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급등락이 반복되자 시장 대응을 위해 손절매나 추가 하락을 예상한 차익매매만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6일 금융투자업계와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4일 현재까지 10월중 코스피·코스닥시장의 하루 평균 거래대금은 6조7000억원에 달하면서 지난해 4월(6조9000억원) 이후 가장 많았다.
이번 증가세는 지난 7월 이래 넉 달째 이어진 것이다.
월평균 하루 거래대금은 지난해 12월 4조6000억원으로 저점을 찍고선 올해 들어 1~6월 5조3000억~5조6000억원에서 등락하다가 코스피지수가 2100에 육박하던 7월에 10개월 만에 6조원대로 올라섰다.
이어 8월에 6조3000억원을 넘더니 9월엔 6조6000억원에 육박했다.
이에 따라 올해의 연평균 일 거래대금은 지난주말 현재 5조8400억원으로 늘며 지난해(5조8200억원)보다 많아졌다.
그러나 2012년(6조9000억원)보다 1조원 넘게 적고 역대 최대치인 2011년(9조1000억원)에는 한참 못미치는 규모다.
전문가들은 조정장세에서의 거래대금 증가는 시장 변동성이 커지고 추가 하락을 예상한 차익시현이나 손절매가 늘었기 때문일 수 있다고 봤다.
임노중 아이엠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거래대금 증가는 상승국면에선 긍정적이지만 하락구간에선 그렇지 않을 수 있다"며 "아직은 바닥이라고 보기 힘들고 부정적 요인이 더 많은 상황이므로 대형주 손절매가 늘어난 영향일 수 있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증권금융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