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환익 한국전력공사 사장은 27일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제공하고 전기차 보유자가 차량에 충전해 둔 전기를 되팔 수 있는 V2G(Vehicle to Grid) 시스템을 완성하는 것이 한전이 해야 할 과제라고 밝혔다.

조 사장은 이날 오전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한전의 역할은 스마트 그리드나 전기차 등 새로운 분야의 시장을 만들고, 새로운 분야의 기술적 완성을 이룩하며, 새로운 산업이 자리를 잡도록 사회적 인프라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가정에서 절약한 전기를 다시 전력 공급 회사에 팔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 주는 것도 앞으로 한전이 해야 할 일이라며 시장을 독점하지 않고 민간 기업들이 들어와서 시장을 활성화하도록 하는 것이 한전의 기본적인 자세라고 설명했다.

조 사장은 에너지 신산업 분야의 상징으로 지능형 원격 검침 인프라(AMI),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지능형 관리시스템 등 3가지를 들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한전과 중소기업 간의 협력 연구체제와 보급을 위한 공동 추진체를 형성하면 스마트 그리드 사회 추진에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는 화석연료를 많이 쓰는 동남아시아의 개발도상국과 관련, "탄소 포집 기술이나 석탄 액화가스 기술 등 화석연료를 쓰면서도 기후변화에 영향을 적게 미치고 경제성도 늘리는 방안에 대해 연구를 많이 하고 있다"며 맞춤형 기술협력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조 사장은 섬이 많아 장거리 송전에 제약이 있는 동남아시아 개발도상국에 마이크로 그리드를 통한 분산 전원 시스템을 보급하는 지원 방안도 찾겠다고 말했다.

원희룡 제주도지사는 전기차 보급에 따른 조세 수입 감소에 대해 "전기차의 보급은 당장 자동차회사, 정유회사, 철강회사에 불이익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고 중앙정부는 조세 수입 면에서 딜레마가 발생한다"며 "그래서 오히려 제주도가 전기차 보급의 최적지"라고 강조했다.

원 지사는 "제주도는 자동차나 유류 등에서 나오는 조세 수입의 의존도가 낮고, 화석연료 의존 산업의 비중도 제조업 전체의 3.6% 미만"이라며 "제주도가 이와 관련한 생활방식과 조세나 행정체계까지 먼저 실험을 해서 그 결과를 대한민국 전체 산업에 연착륙시키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주도는 풍력발전으로 세수를 늘리고 에너지 소비량을 줄여서 그에 대한 지출 비용을 줄여 주민에 대한 인센티브를 재설계할 수 있다고 그는 설명했다.

원 지사는 "유럽이나 미국의 자동차 회사들이 거의 스마트폰 값과 비슷한 수준의 자동차를 만들고 에너지 소비와 관련된 생활방식 자체를 바꾸기 위해서 도전한다"며 국내 자동차회사들이 기존의 수익구조에 너무 의존하는 점에 상당한 불만을 토로했다.

조 사장과 원 지사는 이날 동아시아·서태평양 전력공급산업협회(AESIEAP)와 한국전력공사가 주최한 '2014 전력공급산업 콘퍼런스(CEPSI)' 개막식에 참석, 전력 관련 국내외 기업의 전시 부스를 돌아봤다.

조 사장은 2013∼2014년 2년간 AESIEAP 회장을 맡았다.

(제주연합뉴스) 김호천 기자 khc@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