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 勞使 '방만경영 개선' 타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평균임금 산정 방식 합의
인센티브는 제외하기로
인센티브는 제외하기로
코레일(사장 최연혜·왼쪽)이 정부의 공기업 정상화 추진 열차의 ‘막차’를 탔다. 지난 8월 노사합의 이후 미해결 과제로 남아 있던 ‘평균임금 산정 방식’에 대한 합의를 27일 저녁 이뤘기 때문이다.
코레일은 27일 오후 7시 코레일 서울사옥에서 최 사장과 김영훈 전국철도노동조합 위원장(오른쪽)이 노사합의서에 최종 서명했다고 밝혔다.
코레일 노사는 이날 퇴직금 산정의 기준이 되는 평균임금에 정부의 경영평가에 따른 인센티브는 제외하기로 했다.
코레일은 지난 8월18일 ‘평균임금 산정방식 개선’을 제외한 방만경영 15개 과제(25개 항목)에 이미 합의한 바 있다. 하지만 합의안을 놓고 당시 집행부가 조합원 총회에서 불신임되면서 이후 노사 협상 테이블은 한 차례도 열리지 않았다. 사측은 공공기관 정상화 중간평가일(10월10일)을 앞두고 협상에 나설 것을 종용했으나, 노조 측에서는 신임 집행부가 꾸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협상에 나설 수 없다고 맞서 왔다.
이후 철도노조는 지난 23일 선거를 통해 신임 김영훈 집행부를 꾸렸고, 노사는 4일간의 마라톤 협상 끝에 최종 합의를 이뤘다. 이로써 코레일은 공사 설립 9년 만에 첫 영업흑자와 함께 무파업 노사합의를 이뤄내게 됐다.
코레일은 이날 노사합의가 방만경영 정상화와 함께 노사관계 회복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 사장은 “직원들의 염원과 뜻을 잘 헤아려 철도 발전이라는 대의에 동참해 준 김 위원장에게 고마운 마음을 전한다”고 말했다.
백승현 기자 argos@hankyung.com
코레일은 27일 오후 7시 코레일 서울사옥에서 최 사장과 김영훈 전국철도노동조합 위원장(오른쪽)이 노사합의서에 최종 서명했다고 밝혔다.
코레일 노사는 이날 퇴직금 산정의 기준이 되는 평균임금에 정부의 경영평가에 따른 인센티브는 제외하기로 했다.
코레일은 지난 8월18일 ‘평균임금 산정방식 개선’을 제외한 방만경영 15개 과제(25개 항목)에 이미 합의한 바 있다. 하지만 합의안을 놓고 당시 집행부가 조합원 총회에서 불신임되면서 이후 노사 협상 테이블은 한 차례도 열리지 않았다. 사측은 공공기관 정상화 중간평가일(10월10일)을 앞두고 협상에 나설 것을 종용했으나, 노조 측에서는 신임 집행부가 꾸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협상에 나설 수 없다고 맞서 왔다.
이후 철도노조는 지난 23일 선거를 통해 신임 김영훈 집행부를 꾸렸고, 노사는 4일간의 마라톤 협상 끝에 최종 합의를 이뤘다. 이로써 코레일은 공사 설립 9년 만에 첫 영업흑자와 함께 무파업 노사합의를 이뤄내게 됐다.
코레일은 이날 노사합의가 방만경영 정상화와 함께 노사관계 회복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 사장은 “직원들의 염원과 뜻을 잘 헤아려 철도 발전이라는 대의에 동참해 준 김 위원장에게 고마운 마음을 전한다”고 말했다.
백승현 기자 arg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