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가을 단풍놀이, 건강하게 즐기는 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단풍의 계절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올 가을 유명산 단풍은 10월말부터 11월 초순까지가 가장 절정이다.
특히 이번 단풍은 올가을 유난히 큰 일교차 덕에 더욱 진한 색을 띨 것으로 예상된다. 당연히 등산객들의 마음을 설레게 하고 있다. 등산은 심폐기능을 향상시키고 근력을 키우는데 효과적인 유산소 운동이다. 하지만 가을 산행으로 인한 무릎 부상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가 증가하는 시기인 만큼 산행에 유의해야 한다.
특히 무릎 관절염을 앓고 있거나 관절이 약한 사람에게 산행은 오히려 해가 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관절염을 앓고 있는 경우 지금과 같은 환절기에는 통증이 더욱 심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기온이 내려가면 근육과 혈관이 수축해 유연성이 떨어지고 무릎관절 통증이 더욱 심해진다. 또한 윤활유 역할을 하는 관절액도 굳어져 무릎을 움직일 때마다 심한 통증을 느낄 수 있다.
산을 오르내리다 보면 무릎에 계속 하중이 가해지는데, 특히 내리막길에서는 자기 체중의 5배에 달하는 하중이 쏠리기 때문에 무릎에 무리가 가기 쉽다. 관절에 불편감이 느껴질 경우 완만한 코스로 변경을 하거나 지그재그로 내려오는 방법으로 무릎 관절에 미치는 충격을 줄여 주는 것이 필요하다.
김재훈 바른마디병원 대표원장은 “산행 중간중간 자주 휴식을 취해 무릎 관절의 피로를 줄여 주고, 등산 후에는 온찜질이나 온욕을 통해 관절 주위 근육을 충분히 풀어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무릎 부상을 당했을 경우 증상이 가벼운 초기 단계에서는 물리치료나 약물요법, 주사요법 등으로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같은 방법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일상 생활에 지장이 줄 정도로 통증이 나타나고, 무릎 관절이 붓는 경우 관절 연골의 손상이나 인대 손상이 없는지 병원을 찾아 검사를 받아봐야 한다. 단순한 인대나 근육 염좌인 경우 1~3주 내에 증상이 호전될 수 있으나 관절 연골이나 인대 파열이 발생하여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관절 연골, 인대가 손상인 경우, 손상 정도나 범위에 따라 재생주사요법(관절윤활액 재생주사, 인대재생주사, DNA주사, 혈액세포 재생주사)과 재생수술요법(미세천공술, 자가연골배양이식술, 줄기세포)으로 재생 치료를 하게 된다.
무릎 관절 부상은 준비를 얼마나 철저히 하느냐에 따라 예방할 수 있다. 무릎 부상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스트레칭으로 등산 전 관절과 근육이 충분히 풀어지도록 해주는 것이 좋다. 철저한 준비 후 산해을 한다면 올 가을에도 아름다운 단풍을 편안히 만끽할 수 있을 것이다.
도움말=김재훈 바른마디병원 원장
이준혁 기자 rainbow@hankyung.com
특히 이번 단풍은 올가을 유난히 큰 일교차 덕에 더욱 진한 색을 띨 것으로 예상된다. 당연히 등산객들의 마음을 설레게 하고 있다. 등산은 심폐기능을 향상시키고 근력을 키우는데 효과적인 유산소 운동이다. 하지만 가을 산행으로 인한 무릎 부상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가 증가하는 시기인 만큼 산행에 유의해야 한다.
특히 무릎 관절염을 앓고 있거나 관절이 약한 사람에게 산행은 오히려 해가 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관절염을 앓고 있는 경우 지금과 같은 환절기에는 통증이 더욱 심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기온이 내려가면 근육과 혈관이 수축해 유연성이 떨어지고 무릎관절 통증이 더욱 심해진다. 또한 윤활유 역할을 하는 관절액도 굳어져 무릎을 움직일 때마다 심한 통증을 느낄 수 있다.
산을 오르내리다 보면 무릎에 계속 하중이 가해지는데, 특히 내리막길에서는 자기 체중의 5배에 달하는 하중이 쏠리기 때문에 무릎에 무리가 가기 쉽다. 관절에 불편감이 느껴질 경우 완만한 코스로 변경을 하거나 지그재그로 내려오는 방법으로 무릎 관절에 미치는 충격을 줄여 주는 것이 필요하다.
김재훈 바른마디병원 대표원장은 “산행 중간중간 자주 휴식을 취해 무릎 관절의 피로를 줄여 주고, 등산 후에는 온찜질이나 온욕을 통해 관절 주위 근육을 충분히 풀어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무릎 부상을 당했을 경우 증상이 가벼운 초기 단계에서는 물리치료나 약물요법, 주사요법 등으로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같은 방법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일상 생활에 지장이 줄 정도로 통증이 나타나고, 무릎 관절이 붓는 경우 관절 연골의 손상이나 인대 손상이 없는지 병원을 찾아 검사를 받아봐야 한다. 단순한 인대나 근육 염좌인 경우 1~3주 내에 증상이 호전될 수 있으나 관절 연골이나 인대 파열이 발생하여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관절 연골, 인대가 손상인 경우, 손상 정도나 범위에 따라 재생주사요법(관절윤활액 재생주사, 인대재생주사, DNA주사, 혈액세포 재생주사)과 재생수술요법(미세천공술, 자가연골배양이식술, 줄기세포)으로 재생 치료를 하게 된다.
무릎 관절 부상은 준비를 얼마나 철저히 하느냐에 따라 예방할 수 있다. 무릎 부상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스트레칭으로 등산 전 관절과 근육이 충분히 풀어지도록 해주는 것이 좋다. 철저한 준비 후 산해을 한다면 올 가을에도 아름다운 단풍을 편안히 만끽할 수 있을 것이다.
도움말=김재훈 바른마디병원 원장
이준혁 기자 rainbo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