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진료비 전남 고흥 197만원…수원 영통 76만원…최대 2.6배 差
지난해 국민 1인당 연간 의료보장(의료급여+건강보험) 진료비는 전국 평균 109만3000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평균 진료비 차이는 최고 2.6배에 달했다.

29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2013년 지역별 의료이용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진료비는 총 56조2579억원, 1인당 연간 진료비는 109만3000원으로 집계됐다. 전년도 104만4000원보다 5만원 정도 늘어난 액수다.

지역별로는 전남 고흥군의 1인당 연간 진료비가 197만4340원으로 가장 많았고 경남 의령군 197만3404원, 전북 부안군 192만5191원 순이었다. 대체로 노인층이 많이 거주하는 농어촌 지역의 평균 진료비가 높았다.

반면 수원 영통구(76만1590원), 창원 성산구(83만3609원), 용인 수지구(85만3585원)의 1인당 진료비는 적었다. 시·군·구 간 진료비 차이는 최고 2.6배였다. 1인당 의료기관 방문 일수도 가장 긴 경남 의령군(36.8일)이 가장 짧은 지역인 수원 영통구(15.9일)보다 2배 이상 길었다.

개별 질환의 지역별 차이도 두드러졌다. 고혈압의 경우 강원지역의 환자 수가 1000명당 152.9명인 데 비해 광주는 90.0명에 불과했다. 특히 관절염은 전남이 188.1명, 경기가 98.8명으로 2배 가까이 차이가 났다.

지난해 의료보장 인구 1000명당 주요 질환자 수는 고혈압이 113.1명, 당뇨 48.3명, 치주질환 316.8명, 관절염 118.7명, 정신장애 52.1명, 감염성질환 219.9명, 간질환 24.1명 등이었다. 당뇨병, 정신장애 환자가 최근 5년간 연평균 4.4% 늘어난 반면 간질환은 1.4% 줄었다.

또 총 의료보장 진료비 가운데 20%에 해당하는 11조2269억원은 환자의 거주지와 치료를 받은 병원의 소재지가 다른 것으로 집계됐다. 타지역에서 진료를 받은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세종으로 조사됐다.

서울의 경우 전체 진료비의 3분의 1인 33.5%가 서울 외 다른 지역 환자가 쓴 진료비로 나타나 환자들의 서울 쏠림이 여전히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