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이후 가계자산, 펀드 주식↓·보험 연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계의 펀드투자와 주식투자는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보험 및 연금에는 자금이 유입됐다.
30일 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한 '글로벌 위기 이후 가계의 금융자산 운용변화 분석'에 따르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펀드에 대한 개인 투자는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펀드 전체에서 개인 비중은 2008년 말 51.7%에서 2013년 말 34.2%로 하락했으며, 공모펀드에서 개인 비중도 78.5%에서 58.7%로 줄었다.
공모펀드의 규모는 232조9000억원에서 190조4000억원으로 하락했다.
주식에 대해서도 박스권 장세가 지속되며 2012년부터 자금이 유출됐다.
2011년에 주식에 대한 가계 금융자산은 4조3960억원이 유입됐으나, 2012년에는 9조3970억원, 2013년에는 3조4460억원이 유출됐다.
반면 노후 대비 등을 위한 보험 및 연금에 대한 가계의 자금유입은 지속되고 있었다.
보험 및 연금으로 2012년, 2013년에 각각 89조1000억원, 83조5000억원이 자금유입되었으며, 이는 현금 및 통화, 결제 및 단기성저축성예금에 대한 자금유입을 상회하는 수준이다.
또한 2012년과 2013년에는 금전신탁으로 유입된 자금의 약 45%인 각각 11조7000억원, 6조4000억원이 퇴직연금신탁으로 유입됐다.
국내 금리 하락으로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해외채권이나 회사채 등에 대한 투자로 자금이 유입됐다.
또 현금통화, 결제 및 단기저축성예금 등으로 자금유입이 지속되면서 가계금융 운용이 단기화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현금통화에는 2013년 6조4000억원, 결제 및 단기저축성예금으로는 50조5000억원이 들어왔다.
장기저축성예금으로는 2010년을 정점으로 자금유입 규모가 갈수록 감소하여, 2013년에는 자금이 유출됐다.
금투협은 "노후준비 등 장기 자산관리 차원에서 펀드를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장기펀드투자에 대한 세제혜택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장기투자하는 적립식투자 펀드 등에 대해서도 비과세혜택이 필요하며, 최근 도입된 소득공제 장기펀드는 가입대상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경닷컴 김다운 기자 kdw@hankyung.com
30일 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한 '글로벌 위기 이후 가계의 금융자산 운용변화 분석'에 따르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펀드에 대한 개인 투자는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펀드 전체에서 개인 비중은 2008년 말 51.7%에서 2013년 말 34.2%로 하락했으며, 공모펀드에서 개인 비중도 78.5%에서 58.7%로 줄었다.
공모펀드의 규모는 232조9000억원에서 190조4000억원으로 하락했다.
주식에 대해서도 박스권 장세가 지속되며 2012년부터 자금이 유출됐다.
2011년에 주식에 대한 가계 금융자산은 4조3960억원이 유입됐으나, 2012년에는 9조3970억원, 2013년에는 3조4460억원이 유출됐다.
반면 노후 대비 등을 위한 보험 및 연금에 대한 가계의 자금유입은 지속되고 있었다.
보험 및 연금으로 2012년, 2013년에 각각 89조1000억원, 83조5000억원이 자금유입되었으며, 이는 현금 및 통화, 결제 및 단기성저축성예금에 대한 자금유입을 상회하는 수준이다.
또한 2012년과 2013년에는 금전신탁으로 유입된 자금의 약 45%인 각각 11조7000억원, 6조4000억원이 퇴직연금신탁으로 유입됐다.
국내 금리 하락으로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해외채권이나 회사채 등에 대한 투자로 자금이 유입됐다.
또 현금통화, 결제 및 단기저축성예금 등으로 자금유입이 지속되면서 가계금융 운용이 단기화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현금통화에는 2013년 6조4000억원, 결제 및 단기저축성예금으로는 50조5000억원이 들어왔다.
장기저축성예금으로는 2010년을 정점으로 자금유입 규모가 갈수록 감소하여, 2013년에는 자금이 유출됐다.
금투협은 "노후준비 등 장기 자산관리 차원에서 펀드를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장기펀드투자에 대한 세제혜택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장기투자하는 적립식투자 펀드 등에 대해서도 비과세혜택이 필요하며, 최근 도입된 소득공제 장기펀드는 가입대상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경닷컴 김다운 기자 k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