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양적완화 종료, 한국 경제 영향 미미할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30일 양적완화(QE·자산매입) 종료를 선언했지만,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양적완화 종료는 그동안 테이퍼링(tapering·자산매입 축소) 프로그램에 따라 단계적으로 이뤄진 데다 충분히 예견된 조치인 만큼 시장에 주는 충격이 매우 제한적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의견이다. 미국이 비록 양적완화를 종료하더라도 '상당기간' 제로 수준의 초저금리를 유지하겠다고 밝힌 만큼 금융시장이 가장 우려하는 급격한 자본 유출이 일어날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점도 꼽혔다.
조동철 한국개발연구원(KDI) 거시경제연구부장은 "연준의 이번 결정은 시장에서 예상했던 대로"라며 "따라서 한국 경제에도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 부장은 "다른 신흥시장국 중 자국 경제의 기반이 취약한 곳은 타격을 받을 수 있다"면서도 "한국은 이런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신민영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부문장도 "예상됐던 일이어서 커다란 변화가 있을 것 같지 않다"면서 "더욱이 '상당기간 초저금리 유지'라는 단서를 달아 충격이 작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이 자국의 경기뿐 아니라 서로 유기적으로 영향을 주고받는 세계 경기의 흐름을 면밀히 관찰해 행동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앞으로도 크게 걱정할 상황은 전개되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이부형 현대경제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연준이 '상당기간 초저금리 유지'를 언급한 배경을 두고 "신흥 시장에서 자금이 급격히 유출될 위험을 방지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며 "유럽, 중국, 일본 등 주요국의 경기 회복이 부진한 점도 염두에 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상당기간 '제로' 상태로 유지될 미국의 금리가 언제쯤 인상될지는 섣불리 예단할 수 없다. 다만, 미국 내 경기 상황만 놓고 판단하면 일러야 내년 하반기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연준이 고용과 물가 등을 보고 금리 인상 시점을 판단하겠다고 했는데, 현재 미국의 고용 상황이 워낙 안 좋아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하려면 1천만명의 고용이 더 늘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점을 고려하면 금리 인상은 내년 하반기 이후에나 가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이날 발표에 따른 단기적인 시장의 변동성과 불확실성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초저금리 유지 기조와 별개로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정례회의 결과가 다소 매파적(긴축 성향)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한다.
전승지 삼성선물 연구원은 "고용과 경기 상황이 이전보다 긍정적이라는 판단을 담은 FOMC 회의 결과가 매파적으로 해석되면서 달러화 강세 재료가 됐다"며 "이 때문에 원·달러 환율도 단기적으로 상승 압력을 받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이번 양적완화 종료는 그동안 테이퍼링(tapering·자산매입 축소) 프로그램에 따라 단계적으로 이뤄진 데다 충분히 예견된 조치인 만큼 시장에 주는 충격이 매우 제한적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의견이다. 미국이 비록 양적완화를 종료하더라도 '상당기간' 제로 수준의 초저금리를 유지하겠다고 밝힌 만큼 금융시장이 가장 우려하는 급격한 자본 유출이 일어날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점도 꼽혔다.
조동철 한국개발연구원(KDI) 거시경제연구부장은 "연준의 이번 결정은 시장에서 예상했던 대로"라며 "따라서 한국 경제에도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 부장은 "다른 신흥시장국 중 자국 경제의 기반이 취약한 곳은 타격을 받을 수 있다"면서도 "한국은 이런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신민영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부문장도 "예상됐던 일이어서 커다란 변화가 있을 것 같지 않다"면서 "더욱이 '상당기간 초저금리 유지'라는 단서를 달아 충격이 작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이 자국의 경기뿐 아니라 서로 유기적으로 영향을 주고받는 세계 경기의 흐름을 면밀히 관찰해 행동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앞으로도 크게 걱정할 상황은 전개되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이부형 현대경제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연준이 '상당기간 초저금리 유지'를 언급한 배경을 두고 "신흥 시장에서 자금이 급격히 유출될 위험을 방지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며 "유럽, 중국, 일본 등 주요국의 경기 회복이 부진한 점도 염두에 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상당기간 '제로' 상태로 유지될 미국의 금리가 언제쯤 인상될지는 섣불리 예단할 수 없다. 다만, 미국 내 경기 상황만 놓고 판단하면 일러야 내년 하반기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연준이 고용과 물가 등을 보고 금리 인상 시점을 판단하겠다고 했는데, 현재 미국의 고용 상황이 워낙 안 좋아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하려면 1천만명의 고용이 더 늘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점을 고려하면 금리 인상은 내년 하반기 이후에나 가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이날 발표에 따른 단기적인 시장의 변동성과 불확실성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초저금리 유지 기조와 별개로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정례회의 결과가 다소 매파적(긴축 성향)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한다.
전승지 삼성선물 연구원은 "고용과 경기 상황이 이전보다 긍정적이라는 판단을 담은 FOMC 회의 결과가 매파적으로 해석되면서 달러화 강세 재료가 됐다"며 "이 때문에 원·달러 환율도 단기적으로 상승 압력을 받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