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중심에서 민간중심으로-특화된 프로그램 필요·

창조경제의 흐름을 타고 우후죽순 생긴 스타트업 육성 및 지원 프로그램들 덕분에 '스타트업 전성시대'의 막이 올랐다.

2017년까지 벤처산업에 4조원을 지원해 '제2의 벤처붐' 일으키겠다는 정부의 계획이 발표된 후 정부 부처 및 기관·지자체·대학·민간에서는 다양한 스타트업 관련 프로그램을 마련, 그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종류도 단순히 자금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에서부터 기획·사업화·홍보·해외 진출 등을 일괄적으로 지원하는 종합 프로그램까지 매우 다양하다.

◇ '제2의 벤처붐' 정부가 주도한다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경제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해 정부는 스타트업 지원책을 직접 마련했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글로벌 K-스타트업은 모든 분야의 가능성 있는 스타트업의 창업을 기획부터 자립까지 연계 지원하는 전방위적인 정부 프로그램의 좋은 예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은 글로벌 엑셀러레이터 육성사업, 스타트업 엔진, SW전문 창업기획사 등 단계별로 연계되고 특성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중소기업청도 기술창업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청년창업사관학교'와 IT·소프트웨어 회사를 지원하는 '스마트벤처창업학교'를 운영한다.

문화콘텐츠 관련 창업에 예산을 지원하는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창업발전소', 위치 정보 서비스, 지도 등을 활용한 창업을 지원하는 국토교통부의 '공간정보 창업' 등 특화된 지원 정책도 찾아볼 수 있다.

지자체 또한 스타트업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펀드를 운용한다.

서울시 산하기관인 서울산업진흥원(SBA)이 운영하는 증권방송 815tv는 가능성이 큰 815개의 우수한 스타트업 벤처를 발굴해서 소개하는 방송이다.

대구와 광주 등에서는 앤젤투자 매칭펀드를 운용, 유망한 스타트업들의 자금을 지원한다.

◇ 대학 및 민간에서도 '스타트업 키워보자'
스타트업을 지원하려는 노력은 대학 및 민간에서도 활발하다.

대학에서는 창업 지원 사업이 주로 다수를 대상으로 진행돼 스타트업 창업을 꿈꾸는 예비 최고경영자(CEO)들이 좀 더 쉽게 도움을 기대할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예인 창업선도대학에서는 대학생 예비창업팀 또는 1년 이내 창업기업을 매년 수백 팀을 선정해 사업 지원금 및 기술·경영 멘토, 창업 공간 등을 제공한다.

SK텔레콤(T오픈랩)·KT(스타트업 노매드)·LG유플러스(LTE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와 같은 통신사는 물론 SK플래닛(K 스타트업)·NHN(파트너센터)·다음카카오(디지털선도형 콘텐츠코리아 랩 공동지원) 등도 스타트업과 상생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 은행권청년창업재단은 지난해 초 창업 생태계 허브 '디캠프'를 개관했고, 지난 4월에는 아산나눔재단이 스타트업 뿐만 아니라 투자자, 액셀러레이터 등에게 모두 공간을 대여해주는 '마루180'를 열었다.

글로벌 K-스타트업을 후원하는 구글은 스타트업을 위한 전용 공간 '캠퍼스 서울'을 내년 설립할 계획이다.

미래창조과학부, 인터넷 선도기업, 국내외 투자기관, 창업보육기관 등은 스타트업 지원을 위해 민·관 협력 네트워크 '스타트업 얼라이언스'를 구축하기도 했다.

◇ 정부 주도에서 민간으로 나아가야…프로그램은 차별화 방향으로
오동환 KISA 인터넷산업기획팀 팀장은 "대기업 위주로 돼 있는 한국 경제 구조에서 스타트업이 살아남으려면 정부가 해줘야 하는 역할이 크다"며 "자원이 없는 한국이 지금처럼 성장하기 위해 그동안 중계무역이 큰 역할을 했다면 이제는 스타트업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만이 '제2의 혁신'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지금은 정부 주도로 '벤처 붐'을 일으키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결국 대기업 등 민간에서 경제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동반성장의 중요성을 깨닫고 스타트업을 육성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라고 바랐다.

다양한 스타트업 지원책이 마련되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프로그램마다 그 내용 및 지원 대상이 비슷하다는 점은 개선돼야 할 부분이다.

정지훈 경희사이버대학교 모바일융합학과 교수는 "프로그램마다 차별점이 없으면 중복 투자의 우려도 있고 창의성을 고취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콘텐츠진흥원의 '창업발전소'나 국토교통부의 '공간정보창업'처럼 특화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정 교수는 "지금은 시작 단계이니 우선 스타트업을 만들 수 있도록 돕는 데 초점을 맞춰 지원책이 마련되고 있지만 앞으로는 홍보, 해외 진출, 투자 유치 등 창업 후 단계별로 스타트업 지원책이 세분화돼 지속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더 많이 나와야 할 것"이라며 "아직 과도기이니 점차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김은경 기자 kamj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