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신협 주택대출 '뚝'…영업기반 '와르르'
농·수·신협 등 상호금융회사의 신규 주택담보대출이 ‘뚝’ 끊긴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8월1일 담보인정비율(LTV)이 70%로 단일화된 이후 상대적으로 비싼 이자를 내고 상호금융사에서 대출받은 사람들이 은행권 대출로 갈아타면서 후폭풍을 맞은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는 가계부채의 ‘질’이 어느 정도 개선되는 것으로 보고 있지만, 상호금융사들은 대출 자산이 축소되고 영업기반마저 흔들린다고 우려하고 있다.

◆상호금융 주택대출 사실상 ‘0’

6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LTV 규제 완화 이후인 8~9월 두 달 동안 상호금융사의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이 급감한 것으로 파악됐다. 상호금융권의 월별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은 올해 1~7월 평균 3639억원이었다. 하지만 규제가 완화된 8월엔 증가액이 801억원, 9월엔 74억원까지 급감했다. 월별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이 규제 완화 전과 비교해 2% 수준으로 떨어진 것이다. 지난달엔 마이너스(-)로 돌아섰을 것으로 금융당국은 추산하고 있다. 상호금융권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9월 말 기준으로 56조3450억원이다. 전체 대출 자산의 30%가량을 차지한다.

같은 기간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은 급증했다. 은행권의 월별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은 올 1~7월 평균 1조4000억원이었으나 8월엔 4조6000억원, 9월엔 3조5000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통상 상호금융권 대출 금리는 은행권보다 1~5%포인트 높다. 규제 완화 이후 은행에서 돈을 빌릴 여력이 더 생긴 만큼 상호금융사에서 주택담보대출을 받지 않고 은행으로 눈을 돌리면서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그동안 LTV는 지역과 금융권에 따라 50~85%로 정해져 있었지만, 8월1일 이후 70%로 단일화됐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최근 상호금융 조합 창구에서 내주는 신규 주택담보대출은 거의 없어진 분위기”라며 “만기를 연장하지 않고 상환만 이뤄지고 있어 10월부터 잔액이 줄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영업기반 붕괴, 대책 마련을”

금융당국은 상호금융권 주택담보대출이 은행권으로 본격 이동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고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상호금융사와 저축은행, 여신전문금융사 등 제2금융권의 기존 담보 및 신용대출 9조원가량이 은행권 대출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가계부채의 질도 어느 정도 개선될 것이란 게 금융당국의 판단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상호금융의 경우 그동안 LTV를 최대 85%까지 적용해 대출이 이뤄졌기 때문에 부실 위험이 컸다”며 “규제 합리화로 가계부채 질은 한층 좋아질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상호금융사들은 “고객 이탈 우려가 현실이 됐다”며 대책 마련을 호소하고 있다. 한 상호금융사 관계자는 “단순한 고객 이탈이 문제가 아니라 영업기반이 흔들리게 됐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상호금융사에 대한 예대율(대출금을 예수금으로 나눈 비율)이나 LTV 기준 등 일부 영업규제를 완화해줘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은행에 적용되는 예대율 기준은 100%지만, 상호금융사에 적용되는 예대율 기준은 80%다. 상호금융사의 영업기반이 훨씬 취약할 수밖에 없다는 주장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이에 대해 “신중하게 검토해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