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기업은행과 계열 금융회사에 대한 감사, 사외이사 인사를 보면 헛웃음만 나온다. 들끓는 비난여론에도 정피아들이 잇따라 낙하산을 타고 쏟아진다. 기업은행 감사부터 은행 경험이 전무한 대선 공신이라고 한다. 계열 증권사와 캐피탈의 감사, 저축은행 자산운용의 사외이사도 대선 캠프나 지지모임에서 활동한 인사들로 채워졌다. 물론 이뿐만이 아니다. 우리은행 감사는 새누리당 비례대표 후보가, 경남은행 감사는 여당 지역 정치인이 꿰찼다. 수출입은행 예금보험공사 자산관리공사 등 금융 공기업마다 예외없이 정피아들이 무더기로 입성했다.

이쯤 되면 정치판을 기웃거리는 게 금융사 취업의 지름길이라는 소리가 나오는 게 무리도 아니다. 세월호 이후 관피아가 봉쇄되자, 때는 이때라는 듯 정피아들이 금융권까지 접수하는 모습이다. 금융을 전리품으로 여겼던 과거 정권의 적폐가 비정상의 정상화를 강조하는 정권에서도 그대로 답습되고 있다. “대출 압력은 거절해도 인사 압력은 외면하기 힘들다”는 게 은행장들의 고백이다. 그러고도 다름아닌 청와대 측은 국정감사에서 낙하산 인사를 안 했다고 부인했다. 남이 하면 낙하산, 내가 하면 적재적소라는 것인지.

고객돈을 관리하는 금융회사의 감사는 아무나 앉아도 되는 자리가 아니다. 금융사고가 빈발하면서 내부통제를 담당하는 감사의 전문성은 필수다. 금융당국이 감사의 독립성과 역할 강화를 강조해온 이유다. 그런 자리에 정상배나 금융 문외한을 앉혀 무슨 내부통제를 강화하고 금융사고를 예방한다는 것인지 모르겠다. 오죽하면 관피아가 낫다는 소리가 나오겠는가. 이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 중 하나가 창조금융을 통한 금융강국 도약이다. 금융을 정피아의 천국으로 만들려면 금융강국이란 말이나 하지 않는 게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