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日 첫 정상회담에도 '한일회담 문제는 원칙불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다음 주 베이징(北京)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때 별도로 정상회담을 갖기로 했다고 일본 언론이 보도하면서 한일 정상회담에 대한 우리 정부의 입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번 회담은 아베 총리 취임 이후 첫 중일 정상 간 만남이 된다.
아베 내각의 영토·과거사 도발에 대해 우리보다 더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중일 정상회담에도 부정적이던 중국이 움직이면서 한중일 3국간 외교 지형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는 관측도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정부는 일단 중일 정상회담이 한일 정상회담 개최에 영향을 줄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우리 정부는 그동안 일본에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 과거사 현안에 대해 진정성 있는 조치를 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한일 정상회담은 과거사 문제에 대한 일본의 태도에 달렸다는 것이다.
그러나 과거사 문제에 대한 일본의 태도 변화가 관측되지 않으면서 한일 정상회담은 아직 언제 이뤄질 수 있을지 점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 APEC은 물론 동아시아정상회의(EAS)·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나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등 APEC 이후의 내주 다른 다자회의에서도 한일 정상간 별도로 만나는 일정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다자 정상회의 때도 한일 정상이 만나지 못하면 올해도 한일 정상회담은 어려울 것이란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이번 회담은 아베 총리 취임 이후 첫 중일 정상 간 만남이 된다.
아베 내각의 영토·과거사 도발에 대해 우리보다 더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중일 정상회담에도 부정적이던 중국이 움직이면서 한중일 3국간 외교 지형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는 관측도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정부는 일단 중일 정상회담이 한일 정상회담 개최에 영향을 줄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우리 정부는 그동안 일본에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 과거사 현안에 대해 진정성 있는 조치를 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한일 정상회담은 과거사 문제에 대한 일본의 태도에 달렸다는 것이다.
그러나 과거사 문제에 대한 일본의 태도 변화가 관측되지 않으면서 한일 정상회담은 아직 언제 이뤄질 수 있을지 점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 APEC은 물론 동아시아정상회의(EAS)·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나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등 APEC 이후의 내주 다른 다자회의에서도 한일 정상간 별도로 만나는 일정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다자 정상회의 때도 한일 정상이 만나지 못하면 올해도 한일 정상회담은 어려울 것이란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