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에 김장하는 주부 늘어…주방용품업계 '김장 대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뉴스카페
김장철을 앞두고 주방용품 업체들이 ‘김장 대전’에 뛰어들었다. 오랜 경기 불황으로 살림살이가 어려워지자 김치를 담가 먹는 가정이 늘고 친정이나 시댁 등과 함께 김장하는 젊은 주부들도 많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생활용품업체 락앤락이 최근 주부 1000여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김치를 직접 담그겠다는 비율이 74%로 지난해(65%)와 2012년(51%)에 비해 크게 늘었다. 김장 재료를 구매할 때 가격이 저렴한 전통시장을 찾겠다는 대답도 40%로 지난해(31%)보다 높았다. 김치를 사다 먹는 데 들어가는 돈을 조금이라도 아끼기 위해서다.
친정 또는 시댁과 김치를 담그겠다는 주부는 지난해 59%에서 올해 61%로, 이웃과 담근 뒤 나눠 먹겠다는 주부는 지난해 1.9%에서 올해 6%로 증가했다.
가장 발 빠르게 나선 곳은 락앤락이다. 이 회사는 국자로 뜨기에 적합한 동치미용 김치통(사진), 저염 김치에 맞도록 누름판을 추가한 프레스통, 부모로부터 김치를 조금씩 받아먹는 싱글족을 위한 소용량 김치통 등 제품을 세분화해 내놓았다. 락앤락 관계자는 “김치 관련 용품 매출이 매년 20~30%씩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도자기업체인 젠은 도자기로 만든 ‘생생용기 김치통’을 내놨다. 도자기가 김치 맛을 오래 살려 준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월드키친은 크기가 200mL부터 1850mL까지 다양한 ‘코렐 스냅웨어’에 예쁜 패턴을 그려 넣어 용기 그대로 식탁에 올릴 수 있도록 했다. 타파웨어에서 선보인 퓨어 김치키퍼 뚜껑엔 실리콘 패킹이 없다. 뚜껑 가장자리에 고춧가루 김칫국물 등 이물질이 껴서 불편하다는 주부들의 불만을 받아들여 관리하기 편하도록 뚜껑의 실리콘 패킹을 없앴다.
김정은 기자 likesmile@hankyung.com
생활용품업체 락앤락이 최근 주부 1000여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김치를 직접 담그겠다는 비율이 74%로 지난해(65%)와 2012년(51%)에 비해 크게 늘었다. 김장 재료를 구매할 때 가격이 저렴한 전통시장을 찾겠다는 대답도 40%로 지난해(31%)보다 높았다. 김치를 사다 먹는 데 들어가는 돈을 조금이라도 아끼기 위해서다.
친정 또는 시댁과 김치를 담그겠다는 주부는 지난해 59%에서 올해 61%로, 이웃과 담근 뒤 나눠 먹겠다는 주부는 지난해 1.9%에서 올해 6%로 증가했다.
가장 발 빠르게 나선 곳은 락앤락이다. 이 회사는 국자로 뜨기에 적합한 동치미용 김치통(사진), 저염 김치에 맞도록 누름판을 추가한 프레스통, 부모로부터 김치를 조금씩 받아먹는 싱글족을 위한 소용량 김치통 등 제품을 세분화해 내놓았다. 락앤락 관계자는 “김치 관련 용품 매출이 매년 20~30%씩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도자기업체인 젠은 도자기로 만든 ‘생생용기 김치통’을 내놨다. 도자기가 김치 맛을 오래 살려 준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월드키친은 크기가 200mL부터 1850mL까지 다양한 ‘코렐 스냅웨어’에 예쁜 패턴을 그려 넣어 용기 그대로 식탁에 올릴 수 있도록 했다. 타파웨어에서 선보인 퓨어 김치키퍼 뚜껑엔 실리콘 패킹이 없다. 뚜껑 가장자리에 고춧가루 김칫국물 등 이물질이 껴서 불편하다는 주부들의 불만을 받아들여 관리하기 편하도록 뚜껑의 실리콘 패킹을 없앴다.
김정은 기자 likesmi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