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 계좌에 돈을 넣어 두자니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 되고, 자식 계좌에 분산 예치하려니 불법 차명거래에다 증여세 문제 때문에 아예 뭉칫돈을 빼가는 자산가가 늘고 있습니다.”
한 시중은행 프라이빗뱅커(PB)가 전한 요즘 자산가들의 분위기다. 연 1%대에 불과한 이자를 받으려고 예금하는 것보다는 골치 아픈 세금 문제에서 벗어나기 위해 거액 예금을 인출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거액 예금 탈출은 이미 본격화됐다. 국민 신한 우리 하나 등 4대 시중은행의 잔액 5억원 이상 개인 정기예금은 지난 9월 말 기준 16조1910억원이었다. 지난 3월 말(17조1570억원)보다 9660억원 줄어든 규모다. 6개월 새 1조원 가까이 빠졌다.
그동안 거액 예금 이탈의 가장 큰 원인은 기준금리가 인하되면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고려한 실질금리가 마이너스로 접어들었기 때문이었다. 최근엔 29일 시행을 앞둔 차명거래 원천금지 조치가 예금 이탈을 부추기고 있다는 분석이다. 거액 예금을 해봐야 이자나 세금 측면에서 도움될 것이 없다는 판단에서다.
예금에서 빠져나간 돈 가운데 일부는 배당주펀드 등 투자상품과 부동산 시장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으로 금융권은 보고 있다. 리스크를 감수하고라도 수익을 낼 수 있는 상품에 투자하겠다는 심리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현금으로 금괴를 사두거나 은행 대여금고와 장롱 속에 보관하는 자산가도 늘고 있다는 게 PB들의 얘기다. 또 다른 은행 PB는 “거래 내역을 노출하는 것 자체를 꺼리는 분위기가 강해지고 있다”고 전했다. 일단 ‘소나기는 피하자’며 돈을 빼놓고 보자는 심리가 확산되고 있다는 것이다.
차명거래를 원천금지하는 개정 금융실명거래법이 시행되면 예금 이탈 현상은 가속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한 은행 관계자는 “지하경제를 양성화하겠다는 법의 취지는 좋지만 오히려 지하로 숨는 자산가들이 더 늘어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트럼프가 시작한 관세 전쟁이 최악의 시나리오는 피했다는 안도감과 기업 실적에 대한 기대로 4일(현지시간) 미국 증시는 전 날 낙폭을 회복하고 반등 시도에 나섰다. 동부 표준시로 오전 10시경 다우존스 산업평균은 0.1% 하락했다. S&P500은 0.3% 올랐다. 전 날 1% 넘게 하락했던 나스닥 종합 지수는 0.8% 올랐다. 전 날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관세 유예 발표전 1% 가까이 급등했던 달러는 전 날보다 블룸버그달러현물지수가 0.4% 하락하면서 6일간의 상승을 멈췄다. 채권 금리는 올라갔다. 팔란티어 주가는 월가 예상을 크게 넘은 실적 및 올해 매출 전망으로 주가가 23% 급등했다.구글 모회사 알파벳은 중국이 미국 관세에 대한 보복 조치로 반독점 조사를 하겠다고 발표했는데도 이 날 실적 발표를 앞두고 주가가 1.5% 상승했다.전 날 5% 급락한 테슬라도 1.5% 반등했고 딥시크 쇼크 이후 하락세가 강했던 엔비디아도 이 날 주가가 2.3% 올랐다. 독일 반도체 기업 인피니온 테크놀로지는 분석가 추정을 뛰어넘는 매출 전망을 제시했다.스포티파이 테크놀로지도 예상보다 크게 증가한 구독자 증가율을 기록하면서 사상 첫 연간 이익을 보고했다. 도이치뱅크에 따르면 지금까지 4분기 실적을 보고한 S&P500 기업가운데 70% 이상이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내놨으며 3년만에 가장 강력한 속도인 연간 12.4%의 이익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중국은 이 날 보복관세로 미국산 에너지와 농업용 장비, 전기트럭 등에 대해 10%~15%의 보복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이와 함께 주요 금속 수출 제한과 구글에 대한 반독점조사, 일부 미국기업의 블랙리스트 등을 추가했지만 미국과의 무역 규모에 비해 적은 부
태평양 중서부는 전 세계 참치잡이 배들의 격전지다. 참치 어선들은 파푸아뉴기니와 솔로몬제도 인근 해역에서 하루 1만달러(약 1440만원)의 ‘입장료’를 내고 참치 떼를 쫓아다닌다. 축구장 6~7개를 에워쌀 수 있는 2.5㎞ 길이의 그물로 한꺼번에 수십t이 넘는 참치를 잡아들인다. 지구촌 참치 어선 태반이 몰려 있는 이 바다 선박들의 국적을 따져보면 ‘K참치’의 위상을 곧바로 확인할 수 있다. ◆‘달러박스’ 역할 했던 원양어업3일(현지시간) 남태평양어업회의기구(FFA)에 따르면 글로벌 참치 회사 가운데 가장 많은 선망선을 보유하고 있는 곳은 한국의 동원산업이다. 사조산업과 신라교역은 각각 3위와 6위에 올라가 있다. 참치 잡는 방법은 주로 통조림용 가다랑어를 그물로 잡는 선망식과 횟감용 황다랑어를 낚시로 잡는 연승식으로 나뉜다. 연승선은 일반적으로 400t 정도로 2000t짜리인 선망선보다 규모가 작다.국가별 집계에서도 한국 참치 회사들이 가진 선망선은 모두 54척으로 대만(72척)에 이어 세계 두 번째로 많다. 동원산업은 최근 10년간 3000억원을 투입해 8척의 최신형 선망선을 도입했고 지금도 2000t급 선망선 1척을 건조하고 있다.선망선 보유 수가 세 번째로 많은 나라는 필리핀으로 총 36척이 있다. 뒤이어 일본 중국 스페인 프랑스 등이 각각 20척대를 보유 중이다.한국은 수십 년 전부터 원양어업에 관심을 기울여왔다. 달러가 귀하던 시절 원양어업은 지금의 현대자동차, 삼성전자급 달러박스였다. 동원산업이 1969년 어선 2척을 구입해 바다로 나갔고, 그로부터 4년 뒤에는 사조산업이 배를 띄웠다. 신라교역(1988년)의 출항 역사도 어느덧 사반세기가 넘는다. ◆20% 넘
호주 정부는 4일(현지시간) 중국의 인공지능 스타트업 딥시크가 보안 위험을 초래한다는 우려로 모든 정부 기기에서 딥시크를 금지한다고 밝혔다. 로이터와 블룸버그에 따르면, 호주의 토니 버크 내무부장관은 모든 정부 기관에 “딥시크 제품,애플리케이션 및 웹 서비스의 사용 또는 설치를 금지하는 지침을 발표했다고 성명을 통해 밝혔다. 이 지침에는 만약 발견시 호주 정부 시스템 및 장치에서 딥시크와 관련된 모든 요소를 제거하도록 하는 내용도 포함돼있다. 내무부 장관은 딥시크가 호주 정부의 기술에 받아 들일 수 없는 위험을 초래한다고 말했다. 즉각적인 금지 조치는 “호주의 국가 안보와 국가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 금지령은 그러나 개인이 소유한 기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딥시크를 금지하기로 결정한 것은 호주만은 아니다. 대만은 이번 주 초에 정부 부서에서 딥시크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탈리아의 개인정보 보호기관은 소비자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딥시크를 차단하도록 했다. 아일랜드의 데이터 보호 위원회도 딥시크에 대한 추가 정보를 요청했다. 이밖에 수백개의 민간 기업도 딥시크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는 예방적 조치를 취했다고 블룸버그 뉴스가 지난 주 보도했다. 호주의 앤서니 알바니즈 총리 정부는 2년 전에도 보안 우려로 중국의 소셜 미디어 앱인 틱톡에 대해 정부 차원의 금지 조치를 시행한 바 있다.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