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지방 정부들이 한국 게임사 유치를 위한 경쟁에 나섰다. 독일 베를린·브란덴부르크 연방주는 오는 21일 부산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 게임 축제 ‘지스타 2014’에서 한국 게임사 유치 설명회를 연다. 작년 지스타에서 투자유치 설명회를 열었던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NRW) 연방주에 이어 두 번째다.

베를린·브란덴부르크 연방주에 게임사를 유치하기 위해 한국에 오는 미하엘 리베 독일 베를린 인터내셔널 게임스 위크 조직위원장은 “독일은 국가적으로 게임을 문화 산업으로 장려한다”며 “특히 베를린과 브란덴부르크는 유럽에서 새롭게 떠오르는 청년 문화의 중심지며 독일 어떤 지역보다 게임 개발을 위한 완벽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반면 한때 게임 강국이었던 한국은 청소년의 심야 게임을 강제로 막는 온라인게임 셧다운제를 비롯한 규제 사슬로 게임기업들이 고사 위기에 몰려 대조적이다.
○독일 게임, 유럽 우등생으로

2000년 초중반까지 독일 게임 산업은 초라했다. 영국에 이어 유럽에서 두 번째로 큰 게임 시장이지만 90% 이상이 수입 게임으로 채워졌다. 청소년 게임 중독을 이유로 게임에 비난이 쏟아졌고, 개발자들은 다른 정보기술(IT) 분야로 떠났다. 1999년 설립된 크라이텍을 제외하면 변변한 게임사도 없었다.

하지만 지난 10년간 상황이 급반전했다. 게임을 창조 산업으로 재인식한 독일 지방 정부들이 경쟁적으로 게임을 전략 산업으로 키우기 시작했다. 독일에서 설립됐거나 해외에서 유치한 게임사는 300개를 넘어섰다. 게임 산업 종사자는 1만여명으로 늘었다. 액티비전 블리자드, 일렉트로닉아츠(EA) 같은 세계적 게임사들이 유럽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독일을 선택하고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 유럽사무소 관계자는 “독일은 지방 정부가 게임업체에 경쟁적으로 지원책을 쏟아내고 있다”며 “덕분에 자체 개발력이 떨어졌던 독일에서도 게임포지, 우가 같은 신생 게임기업이 탄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게임포지가 웹에서 바로 즐길 수 있게 개발한 역할수행게임(RPG) ‘드라켄상’은 유럽에서 2000만명의 이용자를 끌어모았고, 지난해 NHN엔터테인먼트를 통해 국내에도 수입됐다. 2008년 설립된 우가는 유럽에서 가장 큰 소셜 게임 업체로 성장했다.

○한국은 게임 산업 위기론

한국은 정반대였다. 국내 콘텐츠 수출의 70%를 차지하며 수출 역군으로 커가던 게임 산업을 정부가 앞장서 가로막았다. 2011년 청소년의 게임 중독을 막기 위해 밤 12시 넘어 게임 접속을 차단하는 강제적 셧다운제를 도입했다. 청소년에게 유해하다는 이유에서였다.

올해는 성인들에게 해가 된다며 웹보드게임 규제를 시행했다. 게임머니의 구매와 한도 등을 제한했다.

작년엔 더 강화된 규제 법안이 경쟁적으로 발의됐다. 게임을 마약·술·도박과 묶어 4대 중독 물질로 규정·관리해야 한다는 법안도 나왔다. 지스타로 매년 1000억원대의 경제 효과를 얻고 있는 부산 지역 국회의원들도 게임 규제에 동참했다.

지난해 한국 게임 시장 규모는 9조7525억원으로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6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했다. ‘게임 산업 위기론’이 나오는 이유다. 업계 관계자는 “마음 같아선 다들 당장이라도 독일로 옮기고 싶은 마음”이라고 말했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