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랄시장 전문가 '수와르디 수코르' 말레이시아 대외무역개발공사 통상진흥사무관은 15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2014 아세안 트레이드 페어' 행사 현장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한국기업들이 할랄시장이 가진 가능성과 가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이선우 기자 seonwoo_lee@hankyung.com
할랄시장 전문가 '수와르디 수코르' 말레이시아 대외무역개발공사 통상진흥사무관은 15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2014 아세안 트레이드 페어' 행사 현장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한국기업들이 할랄시장이 가진 가능성과 가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이선우 기자 seonwoo_lee@hankyung.com
[이선우 기자] "한국의 김치, 고추장 그리고 수삼·당귀·대추·찹쌀 등을 넣어 만드는 삼계탕과 같은 건강식품은 아세안 할랄시장에서 충분히 통할 수 있는 제품들 입니다"

말레이시아 대외무역개발공사(MATRADE)에서 할랄부문을 총괄하는 수와르디 수코르(Suwardy Shukor·사진) 통상진흥사무관은 지난 15일 삼성동 코엑스 '2014 아세안 트레이드 페어' 행사장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이 같이 말했다.

그는 또 "한국의 건강식품 뿐만 아니라 화장품, 의약품 등도 할랄제품으로 요건만 갖춘다면 아세안은 물론 전 세계 할랄시장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할랄(Halal)은 아랍어로 '허용된 것'을 뜻하는 단어로 이슬람교도인 무슬림이 이슬람 율법에 따라 먹고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된 제품을 가리킨다. 원재료의 성분 뿐만 아니라 공급부터 생산·보관·포장·유통·판매에 이르는 모든 과정에 걸쳐 이슬람교 율법이 정한 기준에 부합되는 제품에 한해 할랄제품으로 인정하고 있다. 대표적인 할랄제품으로는 과일, 야채, 곡류와 어류, 어패류 그리고 이슬람 율법에 따라 도살된 고기(염소·닭·소 등)와 이를 원료로 하는 화장품, 의약품 등이 있다.

현재 전 세계 무슬림 인구는 약 18억명으로 시장규모는 5600억 달러(한화 약 670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매년 10∼20%의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네슬레, 맥도날드 등 다국적 기업은 물론 많은 국내 기업들이 할랄시장에 주목하고 있다.

수와르디 수코르 사무관은 세계 할랄시장 선점을 위해 한국기업이 아세안을 전략적인 파트너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할랄제품은 단순히 원재료의 선택은 물론 제조·가공·유통·판매의 전 과정에 걸쳐 철저한 준비가 필요한데다 아세안에 약 2억5000만의 무슬림 인구가 있어 세계 할랄시장 진출을 위한 전초기지로서 활용 가치가 높다는 것.

그는 "한국제품 자체를 할랄제품으로 인정받는 방법도 있지만 원재료 수급과 제품의 생산·제조·유통을 아세안 현지에서 해결하는 것도 할랄시장 진출을 위해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며 "아세안 현지기업과 공동으로 할랄시장에 진출할 경우 효율적인 현지 마케팅도 가능해 단기간에 소기의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할랄시장이 갖는 확장성에도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반적으로 이슬람교도만 이용하는 것으로 인식되던 할랄제품이 종교적 개념을 넘어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최근 할랄제품이 안전하고 건강한 제품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채식주의자나 친환경주의자 외에 건강, 안전을 중시하는 일반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 같은 할랄시장이 가진 기회와 가능성에 대해 전략적인 판단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수와르디 수코르 사무관은 지난 13일 아세안 10개국 100여개 식품기업이 참여한 가운데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2014 아세안 트레이드 페어'(주최 한·아세안센터)에서 국내 기업들을 대상으로 '전 세계 할랄시장 전망'을 주제로 하는 강연을 통해 할랄시장 홍보대사로 나서기도 했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이슬람중앙회(KMF)는 지난 달 30일 국내 기업의 할랄시장 진출을 늘리기 위해 말레시아 할랄인증 유효기간을 종전 1년에서 2년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이번 인증 유효기간 확대 조치로 인해 국내 농식품 수출기업의 비용부담이 줄어드는 한편 현지 시장공략에 있어 연속성 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관련 업계는 기대하고 있다.

이선우 기자 seonwoo_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