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 전 옛 서울의 모습을 볼 수 있는 희귀사진 700장이 일반에 공개됐다.





사진속 100년 전 서울에서 현재의 서울의 공톰점은 한양 성문을 열고 닫는 시각을 알렸던 보신각종이다.





보신각종이 있다고 해서 ‘종로’라고 불렸던 보신각종 근처는 100년 전 옛 서울에서도 상업가옥이 즐비하고 전차와 우마차가 북적이던 최대 번화가였다. 10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보신각종은 여전히 자리를 지키고 있다.





조선 초기에 종로가 건설됐을 때 도로 폭은 약 18m에 4차선이었다.





경기대 건축대학원 안창모 교수는 600년 전 4차선 도로폭을 만들었다는 것은 서울의 도시계획이 미래를 내다보는 계획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전했다.





현재 한국은행과 중앙우체국, 백화점, 은행 등으로 쓰이는 건물들은 일제강점기 시절에도 조선은행, 경성우편국, 미쓰코시 백화점, 저축은행이었다. 안창모 교수는 이곳은 식민지 자본주의 심장부였다고 전했다.





한편 100년 전 옛 서울을 엿볼 수 있는 700점의 사진은 12월 중순까지 일반 대중에게 무료로 공개된다.





100년 전 옛 서울 사진을 접한 누리꾼들은 "100년 전 옛 서울, 보신각은 안변했네", "100년 전 옛 서울, 신기하다", "100년 전 옛 서울, 100년이 지나면 또 어떻게 바뀔까", "100년 전 옛 서울, 보신각이 중심이었구나", "100년 전 옛 서울, 700점이나?"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사진= 방송화면)


고서현기자 goseohyeon@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일이 점점 커지고 있네"…美언론 "신인 걸그룹 프리츠 나치 연상 의상 보도"
ㆍ김부선 아파트 난방비 수사 결과 `무혐의`, 왜 증거 못 찾았나
ㆍ먹기만 했는데 한 달 만에 4인치 감소, 기적의 다이어트 법!!
ㆍ섹션 규현, "레드벨벳 슬기? 그 이후로 더 어색해져"
ㆍ엔저 심화‥경제 역풍 우려 점증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