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취업문 여는 한경 TESAT] 알아두면 유용한 시사경제 용어들…특허괴물·국제채·행동경제학
제25회 테샛이 이틀 앞으로 다가왔다. 자주 출제되는 경제원리나 핵심 이론을 다시 한 번 정리하자. 수요와 공급, 정보의 비대칭, 국내총생산(GDP)의 개념, 실업률의 계산, 경제정책의 효과 등은 자주 출제되는 분야다. 또 최근 국내외 경제흐름을 잘 파악해두면 테샛 등급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다음은 꼭 알아둬야 할 주요 경제 용어다.

양적 완화(QE)

중앙은행이 발권력을 동원해 시중에 돈을 뿌리는 정책. 미국이 양적 완화 종료를 선언한 반면 일본은 더 공격적인 양적 완화 정책을 시행 중이다. 양적 완화를 실시하면 자국 통화가치가 하락, 수출을 늘리고 물가도 끌어올릴 수 있다.

보편복지·선별복지

복지정책엔 보편적 복지와 선별적 복지 두 가지가 있다. 국민 모두에게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편적 복지는 형평성이 높은 반면 효율성이 낮고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필요한 사람에게만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택적 복지는 형평성은 낮으나 효율성이 높고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공적연금·사적연금

연금은 크게 정부가 운용해 국민 모두가 가입해야 하는 공적연금과 개인이 선택해 가입하는 사적연금이 있다.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군인연금, 사학연금 등이 공적연금의 대표적이며 사적연금엔 퇴직연금과 개인연금 등이 있다.

특허괴물(patent troll)

개인이나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특허를 사들인 뒤 특허료를 받거나, 특허를 침해했다고 판단되는 기업에 소송을 제기하고 이를 통해 이익을 얻는 회사를 말한다. 특허관리전문회사(NPE, Non-Practicing Entity)를 부정적으로 표현한 단어다.

국제채

외국 통화로 발행되는 채권이다. 국내에서 달러화나 유로화 등 외국 통화로 발행되는 김치본드를 비롯 아리랑본드 양키본드 딤섬본드 사무라이본드 판다본드 등이 국제채의 일종이다.

행동경제학

심리학과 경제학을 접목한 경제학의 한 분야. 경제주체들이 제한적으로 합리적이며 때론 감정적으로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한다. 어떤 대상을 소유하거나 소유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순간 그 대상에 대한 애착이 생겨 객관적인 가치 이상을 부여하는 ‘보유효과’를 비롯 닻내림효과, 심리적 회계, 프레이밍효과 등이 행동경제학의 주요 용어다.

강현철 연구위원 hc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