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인상, 224만 가구 보험료 인상 … 인상 금액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인상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인상 소식이 화제다.
19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지역가입자의 11월분 보험료부터 2013년도 귀속분 소득과 2014년 재산과표 변동자료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새로운 소득과 재산과표가 적용되면서 전체 지역가입자 753만 가구 가운데 224만 가구는 보험료가 오르고 18.0%인 131만 가구는 소득이나 재산 감소 등으로 오히려 보험료가 내린며 나머지 373만 가구(51.2%)는 변동이 없어, 가구당 평균 3317원을 더 내야 한다.
보험료 증감 구간별로는 5000원 이하 감소가 44만 세대(감소세대의 33.6%), 5000원 초과 2만원 이하 감소는 47만 세대(감소세대의 47.3%)로 나타났다.
보험료가 오른 가구를 보면 5000원 이하 증가가 75만 세대(증가세대의 33.5%), 5000원 초과 2만원 이하 증가는 74만 세대(33.0%)였다. 10만원 이상 불어난 가구도 7만 가구에 이르렀다.
이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인상, 이민 가야 겠다",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인상, 다 오르네 다 올라",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인상, 슬슬 개인파산 신청해야 할듯"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인상 소식이 화제다.
19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지역가입자의 11월분 보험료부터 2013년도 귀속분 소득과 2014년 재산과표 변동자료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새로운 소득과 재산과표가 적용되면서 전체 지역가입자 753만 가구 가운데 224만 가구는 보험료가 오르고 18.0%인 131만 가구는 소득이나 재산 감소 등으로 오히려 보험료가 내린며 나머지 373만 가구(51.2%)는 변동이 없어, 가구당 평균 3317원을 더 내야 한다.
보험료 증감 구간별로는 5000원 이하 감소가 44만 세대(감소세대의 33.6%), 5000원 초과 2만원 이하 감소는 47만 세대(감소세대의 47.3%)로 나타났다.
보험료가 오른 가구를 보면 5000원 이하 증가가 75만 세대(증가세대의 33.5%), 5000원 초과 2만원 이하 증가는 74만 세대(33.0%)였다. 10만원 이상 불어난 가구도 7만 가구에 이르렀다.
이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인상, 이민 가야 겠다",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인상, 다 오르네 다 올라",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인상, 슬슬 개인파산 신청해야 할듯"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