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영변 재처리시설 재가동 준비 가능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북한이 영변 핵시설 가운데 사용후 핵연료의 재처리시설인 방사화학실험실을 재가동하기 위한 준비에 나섰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의 북한 전문 웹사이트 '38노스'는 19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에서 "(핵연료에서) 플루토늄을 분리하는 건물과 남동쪽으로 접한 건물의 대형 냉각탑에서 증기가 관찰됐다"고 밝혔다.
지난 4일 촬영된 위성사진을 바탕으로 이같이 밝힌 38노스는 플루토늄 분리 시설을 포함한 재처리 관련 시설에서 "지난 여름부터는 거의 활동이 관찰되지 않았다가 이번에 새로운 활동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2007년 6자회담 합의에 따라 5㎿급 원자로와 함께 핵재처리시설, 핵연료공장 등을 폐쇄·봉인했으나 2008년 9월 봉인을 해제했고, 2009년 11월에는 사용 후 연료봉 8000개의 재처리를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38 노스는 새 위성사진에서 발견된 재처리시설에서의 증기가 "유지보수나 시험가동에 의한 것일 수 있지만, 재처리용 화학물질 제조 과정에서 생겼을 수도 있고, 따라서 본격적인 (재처리시설) 가동을 위한 첫 단계일 가능성이 있다"고 풀이했다.
그러나 38노스는 영변의 5㎿급 원자로가 여전히 정지된 것으로 파악되며, 지금까지 약 10주 동안 가동이 중단된 상태였다고 밝혔다.
5㎿ 원자로의 이 같은 가동 중단 기간은 정기 유지보수 때문으로 보기에는 너무 긴 기간이며, 가동 중단 원인을 판단하기에 정보가 부족하지만 일부 파손 연료봉을 원자로에서 빼내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38노스는 설명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지난 9월 4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영변 핵시설의 5㎿급 원자로가 가동되고 있다고 발표했고, 지난 9월 26일에는 북한의 핵활동 중단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38노스는 5㎿ 원자로의 온배수와 증기를 배출하는 관로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북쪽으로 관 매설을 위한 것으로 보이는 좁고 긴 굴착 현장이 지난달 28일 위성사진에서 발견됐다고 밝혔다.
38 노스는 지난 4일 위성사진에서는 이 굴착 공사가 뚜렷하게 진척된 모습을 찾지 못했다면서도, 이 공사가 5㎿ 원자로에서 나오는 냉각수를 다른 곳으로 배출함으로써 원자로 가동 여부에 대한 판단을 어렵게 만들기 위한 것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
미국의 북한 전문 웹사이트 '38노스'는 19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에서 "(핵연료에서) 플루토늄을 분리하는 건물과 남동쪽으로 접한 건물의 대형 냉각탑에서 증기가 관찰됐다"고 밝혔다.
지난 4일 촬영된 위성사진을 바탕으로 이같이 밝힌 38노스는 플루토늄 분리 시설을 포함한 재처리 관련 시설에서 "지난 여름부터는 거의 활동이 관찰되지 않았다가 이번에 새로운 활동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2007년 6자회담 합의에 따라 5㎿급 원자로와 함께 핵재처리시설, 핵연료공장 등을 폐쇄·봉인했으나 2008년 9월 봉인을 해제했고, 2009년 11월에는 사용 후 연료봉 8000개의 재처리를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38 노스는 새 위성사진에서 발견된 재처리시설에서의 증기가 "유지보수나 시험가동에 의한 것일 수 있지만, 재처리용 화학물질 제조 과정에서 생겼을 수도 있고, 따라서 본격적인 (재처리시설) 가동을 위한 첫 단계일 가능성이 있다"고 풀이했다.
그러나 38노스는 영변의 5㎿급 원자로가 여전히 정지된 것으로 파악되며, 지금까지 약 10주 동안 가동이 중단된 상태였다고 밝혔다.
5㎿ 원자로의 이 같은 가동 중단 기간은 정기 유지보수 때문으로 보기에는 너무 긴 기간이며, 가동 중단 원인을 판단하기에 정보가 부족하지만 일부 파손 연료봉을 원자로에서 빼내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38노스는 설명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지난 9월 4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영변 핵시설의 5㎿급 원자로가 가동되고 있다고 발표했고, 지난 9월 26일에는 북한의 핵활동 중단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38노스는 5㎿ 원자로의 온배수와 증기를 배출하는 관로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북쪽으로 관 매설을 위한 것으로 보이는 좁고 긴 굴착 현장이 지난달 28일 위성사진에서 발견됐다고 밝혔다.
38 노스는 지난 4일 위성사진에서는 이 굴착 공사가 뚜렷하게 진척된 모습을 찾지 못했다면서도, 이 공사가 5㎿ 원자로에서 나오는 냉각수를 다른 곳으로 배출함으로써 원자로 가동 여부에 대한 판단을 어렵게 만들기 위한 것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