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을 소환하라"…각국 중앙銀, 현물 보유 확대 움직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자산 20% 보유 의무 법안
스위스, 30일 국민투표
獨·네덜란드 등도 현물 회수
스위스, 30일 국민투표
獨·네덜란드 등도 현물 회수
유럽을 비롯한 세계 각국 중앙은행에 금을 더 매입하거나 해외에 보관 중인 금을 본국으로 들여오라는 정치적 압력이 커지고 있다. 글로벌 경제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면서 안전자산인 금 실물을 좀 더 확보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주장이다. 이 때문에 금값이 조만간 하락세를 멈추거나 반등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외신에 따르면 스위스는 30일 중앙은행(SNB)의 자산 대비 금 보유 비중을 20% 이상으로 높일 것을 강제하는 법안에 대해 국민투표를 실시한다. ‘우리의 금을 지키자(save our Swiss gold)’는 이름의 이 법안은 이외에도 금의 해외 매각을 금지하고, 해외에 보관 중인 금의 스위스 환수를 의무화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다분히 대중인기 영합주의(포퓰리즘) 법안이지만 유럽의 경기침체와 양적 완화 확대에 따른 불안감이 금에 대한 향수를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가능성이 높지 않지만 이 법안이 과반수 찬성으로 통과되면 스위스는 향후 5년 내에 1050t의 금을 추가 매입해야 한다. 이 경우 현재 온스당 1200달러를 밑도는 금값이 1400달러 이상 폭등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다.
스위스 외에 다른 유럽 국가도 자국 내 금 보유를 늘리고 있다. 지난해엔 독일 분데스방크가 미국 등에 보관 중인 금을 본국으로 들여오겠다고 발표했고, 네덜란드는 최근 뉴욕 연방준비은행에 보관 중이던 122t의 금을 비밀리에 환수했다. 지난 25일에는 프랑스 극우정당인 국민전선(FN)의 마린 르펭 대표가 중앙은행의 금 재고 감사와 함께 해외에 보관 중인 금의 환수를 공개적으로 요구했다.
서방 경제제재를 받고 있는 러시아가 3분기 동안 전 세계 중앙은행이 사들인 금의 45%에 해당하는 55t의 금을 순매입해 “경제전쟁에 대비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외환보유액 중 금 보유 비중이 1%에 불과한 중국도 투자 다변화 차원에서 금 매입에 나설 것이라는 분석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지난달에는 앨런 그린스펀 전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이 “양적 완화 정책은 실패”라며 “정부 정책과 상관없는 진정한 화폐인 금에 투자해야 한다”고 주장, 시장에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아직 가격 상승 움직임이 나타나진 않고 있다. 27일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금 3개월물은 전날보다 0.8% 하락한 1187.0달러에 거래됐다. 조슈아 아이젠만 서던캘리포니아대(USC) 교수는 WSJ에 “금은 권력과 영향력을 반영하는 자산인 경우가 많다”며 “순수하게 경제적 수익만 따진다면 안전자산이 아니다”고 지적했다.
한국은행도 금 보유량 확대는 비합리적 투자라는 반응이다. 한은 관계자는 “미 국채에 투자하면 최소한의 이자는 보장되지만 금 보유는 비용만 들 뿐 실익이 없다”며 “무엇보다 금 시장에서 미국의 영향력이 커 달러 강세 속에서 금값의 상승까지 용인할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뉴욕=이심기 특파원 sglee@hankyung.com
외신에 따르면 스위스는 30일 중앙은행(SNB)의 자산 대비 금 보유 비중을 20% 이상으로 높일 것을 강제하는 법안에 대해 국민투표를 실시한다. ‘우리의 금을 지키자(save our Swiss gold)’는 이름의 이 법안은 이외에도 금의 해외 매각을 금지하고, 해외에 보관 중인 금의 스위스 환수를 의무화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다분히 대중인기 영합주의(포퓰리즘) 법안이지만 유럽의 경기침체와 양적 완화 확대에 따른 불안감이 금에 대한 향수를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가능성이 높지 않지만 이 법안이 과반수 찬성으로 통과되면 스위스는 향후 5년 내에 1050t의 금을 추가 매입해야 한다. 이 경우 현재 온스당 1200달러를 밑도는 금값이 1400달러 이상 폭등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다.
스위스 외에 다른 유럽 국가도 자국 내 금 보유를 늘리고 있다. 지난해엔 독일 분데스방크가 미국 등에 보관 중인 금을 본국으로 들여오겠다고 발표했고, 네덜란드는 최근 뉴욕 연방준비은행에 보관 중이던 122t의 금을 비밀리에 환수했다. 지난 25일에는 프랑스 극우정당인 국민전선(FN)의 마린 르펭 대표가 중앙은행의 금 재고 감사와 함께 해외에 보관 중인 금의 환수를 공개적으로 요구했다.
서방 경제제재를 받고 있는 러시아가 3분기 동안 전 세계 중앙은행이 사들인 금의 45%에 해당하는 55t의 금을 순매입해 “경제전쟁에 대비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외환보유액 중 금 보유 비중이 1%에 불과한 중국도 투자 다변화 차원에서 금 매입에 나설 것이라는 분석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지난달에는 앨런 그린스펀 전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이 “양적 완화 정책은 실패”라며 “정부 정책과 상관없는 진정한 화폐인 금에 투자해야 한다”고 주장, 시장에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아직 가격 상승 움직임이 나타나진 않고 있다. 27일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금 3개월물은 전날보다 0.8% 하락한 1187.0달러에 거래됐다. 조슈아 아이젠만 서던캘리포니아대(USC) 교수는 WSJ에 “금은 권력과 영향력을 반영하는 자산인 경우가 많다”며 “순수하게 경제적 수익만 따진다면 안전자산이 아니다”고 지적했다.
한국은행도 금 보유량 확대는 비합리적 투자라는 반응이다. 한은 관계자는 “미 국채에 투자하면 최소한의 이자는 보장되지만 금 보유는 비용만 들 뿐 실익이 없다”며 “무엇보다 금 시장에서 미국의 영향력이 커 달러 강세 속에서 금값의 상승까지 용인할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뉴욕=이심기 특파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