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고속철 '新실크로드 야심'…반값 앞세워 30개국과 건설 협상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글로벌 시장 질주 비결
올해 나이지리아·美와 계약…가격경쟁력으로 잇단 수주
獨·佛·日 합작, 기술력 흡수…中 지도부도 '세일즈맨' 자처
올해 나이지리아·美와 계약…가격경쟁력으로 잇단 수주
獨·佛·日 합작, 기술력 흡수…中 지도부도 '세일즈맨' 자처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는 지난 8월 중국 내 철도건설을 전담하는 철로총공사를 방문한 자리에서 “해외에 나가 중국의 고속철도를 세일즈할 때면 특별한 자부심을 느낀다”고 말했다. 150여년 전 미국의 대륙횡단 철도 건설을 위해 저임금에 땀흘려 일했던 중국인 노동자들이 이제 전 세계를 달릴 고속철도 차량을 만들고 있는 것에 대한 뿌듯함을 내비친 것이다. 중국이 고속철 및 철도 분야에서 굵직굵직한 계약을 잇달아 수주하고 있다. 중국 언론은 ‘고속철 대약진’이란 표현까지 내건다.
○세계 고속철 절반이 중국 내 노선
중국은 지난달 나이지리아로부터 120억달러(약 13조3500억원) 규모의 철도건설 계약을 수주했다. 러시아와는 모스크바와 베이징을 잇는 노선을 건설하는 데 합의했고, 인도의 첫 고속철 사업에도 중국이 유력한 후보로 거론된다.
1978년 개혁개방에 나선 덩샤오핑이 일본을 방문해 처음 고속철(신칸센)을 탄 직후 “어떻게 기차가 바람처럼 빨리 달릴 수 있느냐”고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던 것에 비춰보면 ‘상전벽해(桑田碧海)’에 가까운 변화다. 전문가들은 중국 고속철이 내수시장을 기반으로 쌓은 기술력, 국가지도자의 세일즈 외교, 가격 경쟁력 등 ‘삼박자’를 갖추고 있어 당분간 중국의 독주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은 고속철 분야에서 후발 주자였다. 첫 고속철 구간인 베이징~톈진 구간이 2008년 개통됐다. 중국 정부의 구상은 4개의 종축과 4개의 횡축으로 고속철을 깔아 국토 전역을 촘촘하게 연결하는 것이었다. 2012년 말에는 세계 최장 고속철인 베이징~광저우 노선(2298㎞)을 개통했다. 그 결과 중국의 고속철 총노선은 작년 말 1만1000㎞로 전 세계 고속철 노선의 약 50%를 차지하는 ‘고속철 대국’이 됐다. 이 과정에서 중국은 일본의 가와사키, 독일의 지멘스, 프랑스의 알스톰과 번갈아가며 합작했고 이를 통해 선진 업체의 기술력을 흡수했다. 특히 중국은 고산지대 사막 등 오지에서 고속철을 건설 운영한 경험이 풍부해 오지 건설 등의 분야에선 세계적 기술력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2012년 12월 개통된 하얼빈~다롄 노선은 영하 40도의 혹한에서 달리는 고속철의 첫 시도였다.
○‘新실크로드’ 핵심 인프라 고속철
중국의 경제주간지 차이징은 최근 자국의 고속철 관련 기사에서 “중국 고속철의 해외 진출은 2013년 시진핑(習近平) 정부 출범 전후로 구분될 수 있다”며 “가장 큰 차이점은 시진핑 정부 들어 국가 최고 지도자들이 고속철 세일즈맨으로 적극 뛰고 있다는 점”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시 주석은 지난 9월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 인도 고속철 건설사업에 향후 5년간 200억달러를 투자하는 것을 골자로 한 양해각서(MOU)를 맺었다. 리 총리 역시 태국 영국 러시아 등을 돌며 중국 고속철 프로젝트를 수주하는 성과를 거뒀다.
두 지도자가 고속철 세일즈에 열성적으로 나서는 것은 물론 경제적 부가가치가 막대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단순히 경제적 이익 때문만은 아니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베이징의 한 외교 소식통은 “시 주석은 지난해 9월 ‘신(新)실크로드 경제벨트’라는 개념을 제시했다”며 “유럽,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 등을 아우르는 경제벨트를 건설하는 데 고속철은 필수불가결한 핵심 인프라”라고 분석했다. 이를 위해 현재 인도 등 20~30개 국가와 고속철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건설원가 경쟁국 대비 절반 수준
올 들어 각국 정부가 발주한 고속철 및 철도 입찰에서 중국이 승리할 수 있었던 또 다른 핵심 요인은 가격이 싸다는 것이다.
블룸버그통신은 “중국은 국제 입찰에서 경쟁국가에 비해 30% 정도 낮은 가격을 써내도 수익을 낼 수 있는 구조”라고 분석했다. 중국의 고속철 건설 비용은 ㎞당 1억5000만위안(약 270억원) 정도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쟁국인 독일 프랑스의 절반 수준이다. 차이징은 그러나 “터키 고속철도 프로젝트를 완공하는 데 당초 예상보다 지연되는 등 현지 비즈니스 관행과 법, 제도 등을 잘 알지 못해 해외사업에서 차질이 발생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며 “중국이 고속철 대국에서 강국으로 발전하려면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다”고 지적했다.
베이징=김동윤 특파원 oasis93@hankyung.com
중국은 지난달 나이지리아로부터 120억달러(약 13조3500억원) 규모의 철도건설 계약을 수주했다. 러시아와는 모스크바와 베이징을 잇는 노선을 건설하는 데 합의했고, 인도의 첫 고속철 사업에도 중국이 유력한 후보로 거론된다.
1978년 개혁개방에 나선 덩샤오핑이 일본을 방문해 처음 고속철(신칸센)을 탄 직후 “어떻게 기차가 바람처럼 빨리 달릴 수 있느냐”고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던 것에 비춰보면 ‘상전벽해(桑田碧海)’에 가까운 변화다. 전문가들은 중국 고속철이 내수시장을 기반으로 쌓은 기술력, 국가지도자의 세일즈 외교, 가격 경쟁력 등 ‘삼박자’를 갖추고 있어 당분간 중국의 독주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은 고속철 분야에서 후발 주자였다. 첫 고속철 구간인 베이징~톈진 구간이 2008년 개통됐다. 중국 정부의 구상은 4개의 종축과 4개의 횡축으로 고속철을 깔아 국토 전역을 촘촘하게 연결하는 것이었다. 2012년 말에는 세계 최장 고속철인 베이징~광저우 노선(2298㎞)을 개통했다. 그 결과 중국의 고속철 총노선은 작년 말 1만1000㎞로 전 세계 고속철 노선의 약 50%를 차지하는 ‘고속철 대국’이 됐다. 이 과정에서 중국은 일본의 가와사키, 독일의 지멘스, 프랑스의 알스톰과 번갈아가며 합작했고 이를 통해 선진 업체의 기술력을 흡수했다. 특히 중국은 고산지대 사막 등 오지에서 고속철을 건설 운영한 경험이 풍부해 오지 건설 등의 분야에선 세계적 기술력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2012년 12월 개통된 하얼빈~다롄 노선은 영하 40도의 혹한에서 달리는 고속철의 첫 시도였다.
○‘新실크로드’ 핵심 인프라 고속철
중국의 경제주간지 차이징은 최근 자국의 고속철 관련 기사에서 “중국 고속철의 해외 진출은 2013년 시진핑(習近平) 정부 출범 전후로 구분될 수 있다”며 “가장 큰 차이점은 시진핑 정부 들어 국가 최고 지도자들이 고속철 세일즈맨으로 적극 뛰고 있다는 점”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시 주석은 지난 9월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 인도 고속철 건설사업에 향후 5년간 200억달러를 투자하는 것을 골자로 한 양해각서(MOU)를 맺었다. 리 총리 역시 태국 영국 러시아 등을 돌며 중국 고속철 프로젝트를 수주하는 성과를 거뒀다.
두 지도자가 고속철 세일즈에 열성적으로 나서는 것은 물론 경제적 부가가치가 막대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단순히 경제적 이익 때문만은 아니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베이징의 한 외교 소식통은 “시 주석은 지난해 9월 ‘신(新)실크로드 경제벨트’라는 개념을 제시했다”며 “유럽,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 등을 아우르는 경제벨트를 건설하는 데 고속철은 필수불가결한 핵심 인프라”라고 분석했다. 이를 위해 현재 인도 등 20~30개 국가와 고속철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건설원가 경쟁국 대비 절반 수준
올 들어 각국 정부가 발주한 고속철 및 철도 입찰에서 중국이 승리할 수 있었던 또 다른 핵심 요인은 가격이 싸다는 것이다.
블룸버그통신은 “중국은 국제 입찰에서 경쟁국가에 비해 30% 정도 낮은 가격을 써내도 수익을 낼 수 있는 구조”라고 분석했다. 중국의 고속철 건설 비용은 ㎞당 1억5000만위안(약 270억원) 정도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쟁국인 독일 프랑스의 절반 수준이다. 차이징은 그러나 “터키 고속철도 프로젝트를 완공하는 데 당초 예상보다 지연되는 등 현지 비즈니스 관행과 법, 제도 등을 잘 알지 못해 해외사업에서 차질이 발생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며 “중국이 고속철 대국에서 강국으로 발전하려면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다”고 지적했다.
베이징=김동윤 특파원 oasis9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