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웨이트는 북한 고려항공의 유일한 중동지역 취항지로 5000여명이 정유공장 등 건설인력으로 일하고 있고 아랍에미리트(2000명), 카타르(1800명), 앙골라(1000명) 등에도 많이 나가 있다.
이 가운데 향후 중국으로의 송출 인력이 폭발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노동력 부족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산업연수생 형식으로 북한 노동력을 받아들이고 있는 중국 동북 3성은 최근 두만강과 접해 있는 지린 투먼 훈춘 일대에 북한 근로자 2만명을 고용하기로 했고 압록강 하구의 랴오닝성도 단둥지역에 추가로 2만명의 북한 근로자를 받기로 북 당국과 합의했다. 이렇게 되면 중국 내 북한 근로자 수는 5만명 이상으로 불어난다.
북한 정권이 해외 근로자를 통해 벌어들이는 돈은 연간 12억~23억달러(약 1조3000억~2조5000억원)에 달한다. 2010년 북한의 천안함 폭침 사건 이후 한국이 남북 교역을 전면 중단한 이후 북한이 지난해까지 입은 외화 손실 22억달러(약 2조4000억원)의 절반이 넘는 금액이다.
북한의 인력 송출은 최근 10여년간 전방위로 확산됐다. 2000년대 시베리아를 비롯해 중국과 동남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등에 3만명 정도가 나가 있었지만 김정은 집권 이후인 2012년에는 인력 규모가 두 배 가까이 늘어났다. 2009년 2차 핵실험, 2011년 5·24 대북제재로 무기수출, 관광수입 등을 통한 외화 유입이 끊긴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북한은 해외 근로자들의 임금을 해외 금융회사를 통해 들여오지 않고 자신들이 감시원으로 파견한 관리들을 통해 직접 현금으로 운반토록 하고 있다. 유엔 경제제재를 피하기 위한 방편이다. 김정은이 강도 높은 경제제재를 받으면서도 벤츠, 코냑 등 각종 사치품을 사들일 수 있는 것도 이들 외화벌이 인력이 있기 때문이다.
■ 특별취재팀
선양·단둥·옌지·훈춘=조일훈 경제부장/김병언 차장(영상정보부)/김태완 차장(국제부)/김유미(경제부)/전예진(정치부) 기자/천용찬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원
전예진 기자 ac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