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계환 선장의 동생 김세환 씨는 3일 "이양우 선장으로부터 지난 2일 밤 국제전화를 받았는데 이 선장이 형님의 마지막 무전교신내용을 알려줬다"고 말했다.
세환 씨가 밝힌 형님의 마지막 교신내용은 이렇다.
김 선장은 배가 가라앉기 직전 이양우 선장에게 "형님에게 하직인사는 해야될 것 같습니다"고 마지막 무전을 보냈다고 한다.
무전내용이 심상치 않다는 것을 눈치 챈 이 선장은 "빨리 나와. 나오라구…"라며 소리쳤고, 김 선장은 단호한 목소리로 "저는 이 배하고 끝까지 함께 가겠다"고 말했다고 한다.
이 선장은 결국 "나중에 탈출하게 되면 소주 한잔 하자"며 김 선장의 무사귀환을 바란 것이 마지막 교신이었다고 세환 씨는 전했다.
세환 씨는 이 선장으로부터 2일 밤 이같은 내용의 무전내용을 국제전화로 듣고 3일 오전 사조산업 측에 사고 당시 베링해에서 같이 조업 중이었던 501 오룡호와 69오양호간의 무전교신 내용을 요구했다.
회사 측이 공개한 무전교신 내용은 이 선장이 알려준 내용과 상당 부분 일치했다고 세환 씨는 전했다.
현재 이 무전 교신 전문은 일부 실종자 가족들의 요청으로 사측이 공개하지 않고 있다.
김 선장은 또 마지막 순간 동생 세환 씨에게도 전화를 걸었던 사실도 확인됐다.
김 선장은 오후 1시 14분께 세환 씨에게 전화를 걸어 "세월호처럼 침몰하고 있다.
시간이 없다"는 말만 남긴 뒤 10초 만에 전화를 끊었다.
이 통화시간은 현지시간으로는 오후 4시14분께로 김 선장이 회사로부터 퇴선 지시를 받은 후 약 14분이 흐른 뒤다.
501오룡호 김계환 선장은 96오양호 이양우 선장과 평소 '형님', '동생'이라 부를 정도로 각별한 사이였다.
김 선장은 오 선장의 밑에서 항해사로 3년간 배를 탔고, 이 선장의 추천으로 오룡호 선장이 되는 등 인연이 깊었다.
23세에 통영 경상대를 졸업한 김 선장은 선원생활을 하다가 2003년 사조산업에 입사했다.
1등 항해사로 3년간 일하다가 러시아에서 명태잡이 조업을 하던 '503오룡호' 선장을 7년간 맡았고 올해 2월부터 501 오룡호의 선장이 됐다.
김 선장은 평소 인품이 훌륭해 선원들이 많이 따랐고 오룡호에 탑승했다가 실종된 한국인 선원 대다수가 김 선장을 믿고 조업에 참여했다고 실종자 가족이 전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