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달새 10엔 급락…7년4개월 만에 최저
韓·유럽 등 경쟁국 반발…日정부, 제동 걸지 주목
엔화 가치가 속절없이 떨어지고 있다. 오는 14일 중의원 선거를 앞두고 엔저 흐름이 주춤할 것이라는 예상도 있었지만 미국의 강한 경기회복세로 조기 금리 인상에 대한 기대가 높아진 데다 일본 총선에서 자민당이 압승해 ‘아베노믹스’(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경제정책)가 힘을 받을 것이라는 쪽에 무게가 실리면서 엔저가 가속화하고 있다.
○3개월여 만에 달러당 16엔 급락
엔화가치는 지난 9월부터 가파르게 떨어졌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예정대로 그 다음달 양적 완화를 종료하겠다는 것을 내비친 시점이다. 10월 Fed가 양적 완화 종료를 선언한 반면 일본은행은 오히려 시중 자금공급량을 80조엔으로 확대하는 추가 양적 완화를 단행했다. 미·일 간 통화정책 방향이 엇갈리면서 양국 간 금리차가 더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에 엔화를 팔고 달러를 사들이는 움직임이 이어졌다.
지난달 아베 총리가 소비세 추가 인상을 연기하기로 결정한 데 이어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가 일본의 국가신용등급을 ‘A1’으로 강등하자 엔화 가치는 더욱 미끄러졌다. 올 들어 10월까지 사상 최대로 불어난 무역적자(11조엔)도 엔화 약세 요인이 되고 있다. 9월 이후 엔화는 달러당 16엔(15.2%) 넘게 떨어졌다.
일본 정부와 여당 내에서도 엔화 급락을 경계하는 발언이 간간이 나오긴 했지만 별 영향을 주지 못했다.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 총재는 최근 “환율은 경제와 금융의 펀더멘털을 반영하고 안정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언급했지만 그후 ‘숨고르기’ 성격의 반등만 있었을 뿐 곧바로 엔화는 약세로 기울었다.
○“속도의 문제일 뿐 방향은 하락”
엔화 가치가 예상보다 가파르게 떨어지자 JP모간 모건스탠리 씨티 도이치뱅크 노무라 등 5개 투자은행은 지난 1주일 새 일제히 엔화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
다나카 다이스케 도이치증권 수석환율전략가는 “경제 기초 여건에 비춰볼 때 엔화 약세 기조는 내년에도 변함이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골드만삭스는 엔화 가치가 내년 상반기 달러당 125엔, 내년 말 130엔까지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일본 미즈호은행, SMBC프렌드증권 등도 130엔 선을 예상하고 있다.
수출부문에서 경쟁관계에 있는 한국이나 유럽 등은 엔저를 유도하고 있는 일본 정부에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경쟁국들의 반발뿐 아니라 엔화 가치가 120엔에서 더 큰 폭으로 떨어질 경우 엔저의 긍정적 효과가 줄어들기 때문에 일본 정부와 일본은행이 어느 수준에서 제동을 걸지도 시장의 관심이다.
신한투자증권은 올 상반기 중 개인, 기업 고객 대상 일반환전 업무 서비스를 출시한다고 17일 밝혔다.기존에는 신한투자증권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을 통해 증권투자 목적으로만 환전이 가능했지만, 서비스 출시 이후 수출입 기업 환전과 유학, 여행 등 일반 목적 환전까지 확대된다.기획재정부는 2023년 7월 증권사(종합금융투자사업자)도 개인 및 기업 고객 대상 일반환전업무가 가능하도록 외국환거래 규정을 신설한 바 있다. 신한투자증권은 지난해 9월 국내 증권사 중 두 번째로 일반환전 인가를 획득했다.신한투자증권은 신한은행 ATM에서 외화 현찰 인출을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
코스피가 종가기준으로 2600선을 돌파했다. 작년 10월29일 이후 약 석달 반 만이다.17일 코스피는 전일 대비 19.37포인트(0.75%) 오른 2610.42에 거래를 마쳤다. 장 초반부터 2600선에서 공방을 벌이며 저항선 돌파를 시도하다가 오전 10시30분께 돌파했다. 이날 기관이 유가증권시장에서 2163억원어치 주식을 사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305억원어치와 2241억원어치를 팔았다. 다만 외국인은 코스피200 선물을 1610억원어치 사들였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혼조세였다.삼성전자는 보합이었고, SK하이닉스는 0.95% 올랐다. 삼성바이오로직스도 0.42% 상승했다.LG에너지솔루션은 장중 강세를 보였지만, 강보합권에서 마감됐다.반면 현대차와 기아는 각각 3.01%와 0.74% 하락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동차 관세를 언급한 영향으로 보인다. HD현대중공업도 조정이 이어지며 2.39% 하락했다.코스닥은 전일 대비 12.16포인트(1.61%) 오른 768.48에 마감됐다. 이 시장에서는 외국인이 609억원어치 주식을 산 반면, 기관과 개인은 각각 303억원어치와 199억원어치를 팔았다.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대체로 상승했다.알테오젠 1.14%, HLB 5.04%, 삼천당제약 3.37% 등 바이오주가 강세였다.특히 클래시스는 10.08%나 급등했다.에코프로비엠과 에코프로도 각각 2.03%와 2.64% 상승했다.반면 레인보우로보틱스는 0.75%, 리가켐바이오는 1.1% 하락했다.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 대비 0.1원(0.01%) 내린 달러당 1441.8원에 거래되고 있다.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
신풍제약이 급락하고 있다. 코로나19 치료제 후보의 임상 결과를 미리 알고 주식을 팔아 손실을 회피한 혐의로 창업주 2세인 장원준 전 대표와 지주사 송암사가 검찰에 고발됐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다.17일 오후 2시8분 현재 신풍제약은 전일 대비 980원(9.56%) 내린 9270원에 거래되고 있다.말라리아 치료제 피라맥스의 임상 실패를 미리 알고 장 전 대표가 송암사가 보유한 신풍제약 주식 매도를 결정했다는 금융당국의 판단이 알려진 영향이다.금융위원회 증권선물위원회는 지난 12일 제3차 정례회의를 열고 신풍제약의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관련 비공개 내부정보를 이용해 손실을 회피한 창업주 2세(장원전 전 대표)와 지주사(송암사)를 자본시장법상 미공개 중요정보 이용 금지 위반으로 검찰에 고발조치하기로 의결했다고 이날 밝혔다.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