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美 금리 올라 자금 유출돼도 외화유동성 문제 없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융연구원 보고서
2차 유출 땐 부작용 우려
2차 유출 땐 부작용 우려
미국 중앙은행(Fed)이 향후 기준금리를 인상해 한국에서 외국자금이 유출돼도 외환보유액을 포함한 한국의 외화유동성은 이를 감내하기 충분한 수준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박해식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7일 ‘미국 금리 인상으로 인한 자본유출 규모 추계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미국이 내년에 기준금리를 인상할 경우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한국의 외화유동성 규모는 약 3900억달러인데 한국은 현재 4500억달러 이상을 확보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분석했다.
박 선임연구위원은 외국자금 유출 대응에 필요한 외화유동성 규모로 △3개월간의 수입액에 해당하는 외화유동성 자금 1330억달러 △1년 이내 갚아야 할 외채 1320억달러 △외국인 주식매수자금의 30%인 1250억달러 등 총 3900억달러를 추정했다. 한국이 확보한 외화유동성은 지난달 말 기준 외환보유액 3631억달러와 다자간 치앙마이이니셔티브(CMIM) 자금 384억달러, 한·중 통화스와프 자금 580억달러 등 총 4500억달러 이상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박 선임연구위원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2차 효과’에 대해선 부작용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외국인 투자자금이 빠져나가면서 국내 자산가격이 떨어지고, 이는 2차 자금유출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며 “신흥국 위기로 인해 국내 금융시장에서 추가적으로 자금이 유출되는 3차 효과도 조심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한국은 외국인 투자자금이 위험자산인 주식투자에 몰려 있어 자금유출이 빠른 속도로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한국의 자본유출입 변동성이 높다는 점도 위험요인으로 꼽았다. Fed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양적 완화 종료를 발표하자 한국에서 자금유출이 시작됐고 이는 환율에도 반영됐다. 국제통화기금(IMF) 보고서에 따르면 2013~2014년 한국은 아시아 주요국 가운데 인도네시아 다음으로 환율 조정폭이 컸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
박해식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7일 ‘미국 금리 인상으로 인한 자본유출 규모 추계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미국이 내년에 기준금리를 인상할 경우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한국의 외화유동성 규모는 약 3900억달러인데 한국은 현재 4500억달러 이상을 확보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분석했다.
박 선임연구위원은 외국자금 유출 대응에 필요한 외화유동성 규모로 △3개월간의 수입액에 해당하는 외화유동성 자금 1330억달러 △1년 이내 갚아야 할 외채 1320억달러 △외국인 주식매수자금의 30%인 1250억달러 등 총 3900억달러를 추정했다. 한국이 확보한 외화유동성은 지난달 말 기준 외환보유액 3631억달러와 다자간 치앙마이이니셔티브(CMIM) 자금 384억달러, 한·중 통화스와프 자금 580억달러 등 총 4500억달러 이상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박 선임연구위원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2차 효과’에 대해선 부작용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외국인 투자자금이 빠져나가면서 국내 자산가격이 떨어지고, 이는 2차 자금유출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며 “신흥국 위기로 인해 국내 금융시장에서 추가적으로 자금이 유출되는 3차 효과도 조심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한국은 외국인 투자자금이 위험자산인 주식투자에 몰려 있어 자금유출이 빠른 속도로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한국의 자본유출입 변동성이 높다는 점도 위험요인으로 꼽았다. Fed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양적 완화 종료를 발표하자 한국에서 자금유출이 시작됐고 이는 환율에도 반영됐다. 국제통화기금(IMF) 보고서에 따르면 2013~2014년 한국은 아시아 주요국 가운데 인도네시아 다음으로 환율 조정폭이 컸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