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행 첫해인 작년엔 자산운용사를 계열사로 둔 41개 판매사가 ‘50% 룰’을 모두 준수한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자세히 뜯어보면 이상한 현상도 나타난다. 상당수 금융회사는 작년 3분기까지 계열 펀드를 집중적으로 팔았다. 연말이 가까워지면서 계열사 상품 판매를 한시적으로 중단하거나 타사 상품을 대거 팔면서 50% 규제를 피해갔다.
눈 가리고 아웅 하는 현상은 올 들어 똑같이 되풀이되고 있다. 3분기 계열사 펀드 판매 비중이 50%를 넘는 판매사를 찾는 것은 어렵지 않다. 신영증권의 계열 펀드 비중은 1분기만 해도 46.4%였는데 2분기 71.5%, 3분기 75.4%로 급증했다. 메리츠종금증권 KB투자증권 등의 계열사 의존도는 3분기 들어 50%를 웃돌았다. 연말에 집중적인 관리를 한다면 규제를 피하는 게 어렵지 않다는 점을 경험으로 터득했기 때문이다.
‘제 식구 상품’을 먼저 챙기는 관행은 수익률 저하로 이어지고 결국 소비자에게 손해로 돌아온다. 금융투자협회에 공시된 국내 주식형 펀드의 지난 1년간 수익률(10월 말 기준)을 분석하면 계열사 펀드와 비계열사 펀드를 모두 판매한 41개 판매사 중 33곳(80.5%)에서 비계열사 펀드의 수익률이 우월했다. 예컨대 한 대형 증권사의 계열 펀드 수익률은 평균 -5.48%인 반면 비계열 펀드는 9.90%를 기록 중이다.
소비자는 증권회사나 은행 창구에서 대개 “좋은 펀드를 추천해 달라”고 요청한다. 좋은 펀드란 수익률이 높은 펀드를 의미한다. 그러나 판매사들은 ‘계열사 펀드’를 먼저 팔 기회로 여기는 것 같다. 금융회사들은 말로만 소비자 최우선 경영을 내세우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봐야 한다.
조재길 증권부 기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