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선 실세'로 지목된 정윤회 씨의 국정개입 의혹을 담은 청와대 문건 유출 파문이 커지는 가운데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열리는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어떤 언급을 할지 주목된다.

이날 박 대통령이 주재하는 수석회의에서 현 사태에 대한 대국민 메시지를 던져 돌파구를 찾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박 대통령은 이미 이달 1일 수석회의에서 "문건 유출은 국기문란 행위"이라고 규정한 바 있다. 이어 7일 여당 지도부 오찬에선 "찌라시 얘기에 나라 전체가 흔들리고 있다", 9일 국무회의에선 "국무위원의 모든 언행은 사적인 것이 아니다" 등의 메시지를 전달했다.

그간 박 대통령은 정 씨의 국정개입 의혹을 거듭 일축했지만 최측근인 이재만 총무비서관이 14일 검찰 조사를 받았으며, 정 씨와의 암투설에 휩싸인 친동생 박지만 EG 회장까지 곧 검찰에 출석하는 상황을 맞게 됐다.

박 대통령의 메시지는 일관되게 공직 기강 해이와 루머에 초점을 맞췄지만, 파문은 가라앉기는커녕 오히려 더 커지고 있다. 특히 '찌라시' 표현을 비롯한 박 대통령의 언급이 사실상 검찰 수사에 대한 가이드라인이란 비판까지 일면서 사태가 악화된 측면도 있다.

게다가 문건 유출 공모자로 지목된 서울경찰청 정보분실 소속 최모 경위가 자살하는 등 검찰 수사를 통해 의혹을 털어내려 했던 청와대로선 난감한 처지가 됐다. 현 정부 출범 후 처음으로 대통령 친인척 문제가 공개적으로 거론되는 상황도 박 대통령으로선 부담스러운 대목이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박 대통령이 이날 수석회의에서 말을 아낄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또 한 번 일련의 사태에 대한 언급을 할 경우 사태가 더욱 확대될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검찰 수사를 지켜보자'는 원론적 입장을 밝히면서 이와 별개로 국정 현안을 챙기라는 당부를 하는 수준에서 선을 그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