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마을] 한국은 風, 중국은 水, 일본은 火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풍수화
김용운 지음 / 맥스미디어 / 572쪽 / 2만5000원
김용운 지음 / 맥스미디어 / 572쪽 / 2만5000원
한국 중국 일본은 수천년 동안 얼굴을 맞대고 살아온 이웃이지만 성격은 판이하다. 그 차이를 민족성이라는 단어 하나로 표현하기에는 부족하다. 세 나라 사람이 모여 잠깐만 이야기를 나눠도 서로 다르다는 것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그 근원은 어디에 있을까.
《풍수화》는 수학자이자 철학자, 문명비평가인 김용운 한양대 명예교수가 분석한 한·중·일 관계학이다.
저자는 한국을 바람(風), 중국은 물(水), 일본을 불(火)에 비유한다. 한국은 스스로 하늘이 돼서 신바람을 일으키는 민족이고, 중국은 만리장성 안으로 들어오는 모든 문화를 중화(中華)라는 바다에 녹이는 특성을 가졌고, 일본은 내부적으로는 지배자에 순응하면서도 외부적으로는 정복을 정당화하는 불의 정신을 지녔다는 설명이다.
저자는 고대 삼국의 원형 사관을 분석해 삼국의 문화적 배경을 풀어낸다. 663년 백강전투를 동북아시아 역사 전체에 영향을 미친 변화의 핵심이라고 꼽는다. 백제가 멸망한 뒤 일본의 구원병과 백제의 부흥군이 합세해 나당연합군과 벌였던 전투인 백강전투가 삼국의 민족적 원형을 형성한 원인이 됐다는 것이다.
저자는 “일본의 문화 유전자는 70% 이상 우리와 같고 언어도 비슷한 어순을 갖고 있는데도 우리는 일본에 대해 알 생각조차 하지 않고 있다”며 “감정만을 앞세워 마주 보고 있다”고 지적한다. 중국에 대해선 “분단 70년을 만든 원인 제공자로 보지 않고 지나치게 우호적”이라고 비판한다.
저자는 “삼국의 정신적 원형을 살펴 서로 그 특성을 이해하고 관계를 재설정해야 한다”며 “궁극적으로 한반도의 비핵화와 영세중립국화, 동북아 공동체 형성이 현재의 갈등을 막을 수 있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박상익 기자 dirn@hankyung.com
《풍수화》는 수학자이자 철학자, 문명비평가인 김용운 한양대 명예교수가 분석한 한·중·일 관계학이다.
저자는 한국을 바람(風), 중국은 물(水), 일본을 불(火)에 비유한다. 한국은 스스로 하늘이 돼서 신바람을 일으키는 민족이고, 중국은 만리장성 안으로 들어오는 모든 문화를 중화(中華)라는 바다에 녹이는 특성을 가졌고, 일본은 내부적으로는 지배자에 순응하면서도 외부적으로는 정복을 정당화하는 불의 정신을 지녔다는 설명이다.
저자는 고대 삼국의 원형 사관을 분석해 삼국의 문화적 배경을 풀어낸다. 663년 백강전투를 동북아시아 역사 전체에 영향을 미친 변화의 핵심이라고 꼽는다. 백제가 멸망한 뒤 일본의 구원병과 백제의 부흥군이 합세해 나당연합군과 벌였던 전투인 백강전투가 삼국의 민족적 원형을 형성한 원인이 됐다는 것이다.
저자는 “일본의 문화 유전자는 70% 이상 우리와 같고 언어도 비슷한 어순을 갖고 있는데도 우리는 일본에 대해 알 생각조차 하지 않고 있다”며 “감정만을 앞세워 마주 보고 있다”고 지적한다. 중국에 대해선 “분단 70년을 만든 원인 제공자로 보지 않고 지나치게 우호적”이라고 비판한다.
저자는 “삼국의 정신적 원형을 살펴 서로 그 특성을 이해하고 관계를 재설정해야 한다”며 “궁극적으로 한반도의 비핵화와 영세중립국화, 동북아 공동체 형성이 현재의 갈등을 막을 수 있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박상익 기자 dir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