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 개발 클러스터엔 독일서도 정부예산 지원"
“독일에는 수많은 산업클러스터(집적지)가 있습니다. 대부분 자생적으로 생겼고 민간 자율의 공동연구 등 다양한 활동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미래 먹거리’를 위해 중요한 첨단기술은 정부가 과감하게 지원하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의 기술개발 정책에 대해 조언하기 위해 최근 내한한 크누트 코샤츠키 독일 프라운호퍼ISI(시스템·혁신연구소) 본부장(사진)은 “국가적으로 중요한 첨단기술 개발을 위해 연방정부가 클러스터당 최대 5년간 4000만유로(약 540억원)를 지원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5년 단위로 각각 5개 클러스터가 선정돼 2기(期)에 걸쳐 총 10개 클러스터가 지원받았고 3기(2013~2018년)엔 바이오 전기차 탄소섬유 지능형기술 면역(의료분야) 등 5개 분야가 혜택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지원조건은 △민간 분야에서 절반 이상 자금을 댈 것 △1유로당 개별기업은 1.36유로 이상 연구개발자금을 투입할 것 등이다. 클러스터 참가기업은 주로 중소기업들이다.

코샤츠키 본부장은 “기술개발에 성공했다고 해도 정부 지원금을 갚을 필요는 없다”며 “기업이 미래 먹거리가 될 첨단기술을 개발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세금을 내면 그 자체가 중앙정부로선 남는 장사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프라운호퍼ISI는 독일에 있는 67개 프라운호퍼연구소가 신기술 개발 업무를 하는 것과는 달리 ‘각종 정책에 대해 조언하고 평가’하는 연구소다. 독일 연방정부의 과학기술 로드맵인 ‘첨단기술전략’의 밑그림을 그린 곳이다. 코샤츠키 본부장은 이 연구소에서 정책 및 지역경쟁력 센터장을 맡고 있다.

김낙훈 중소기업 전문기자 n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