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는 내년부터 5년 동안 게임산업에 2300억원을 지원하는 내용 등을 담은 ‘게임산업 및 e스포츠 진흥 중장기 계획’을 18일 발표했다. 문체부가 게임산업 진흥을 위한 5개년 계획을 발표한 것은 2003~2007년, 2008~2012년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게임업계가 기대했던 획기적인 규제 완화는 없었다. 그동안 게임 규제는 주로 여성가족부를 통해 이뤄졌기 때문이다. 대신 문체부는 여가부 민간단체와 함께 상설협의체를 구성해 내년 상반기부터 규제 완화를 같이 논의해 나가기로 했다.

문체부의 진흥책은 크게 △차세대 게임 플랫폼 생태계 구축 △게임물 등급분류 제도 개선과 개발 인력 양성을 통한 산업 재도약 기반 마련 △게임에 대한 인식 제고 등 세 가지 축에 중점을 뒀다.

차세대 게임 플랫폼 구축이란 스마트TV나 가상현실기기 등에서도 게임을 즐길 수 있게 하는 것을 말한다. PC 온라인과 모바일 게임 시장이 성장세 둔화를 겪고 있는 만큼 차세대 게임 플랫폼을 미리 발굴, 육성해야 한다는 판단이 작용했다.

게임물 등급분류는 사후 관리에 초점을 맞춰 최대한 민간 기업에 자율권을 줄 계획이다. 사전 심의를 거치지 않고 게임 회사가 직접 자신들이 만든 게임에 등급을 매길 수 있게 된다는 뜻이다.

게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바꾸기 위해선 학부모와 교사, 학생 모두에게 게임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교육을 할 계획이다. 윤태용 문체부 문화콘텐츠산업실장은 “요즘 게임은 자유도가 높아 게임 속에서 어떤 행동이든 할 수 있지만 나쁜 결정을 내리면 나쁜 결과를 맞이하도록 설계돼 있다”며 “게임을 통해 교훈을 얻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