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재테크 성과 좌우할 '세계경제 8大 미스터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스터리 현상, 불확실성 키워
내년 통화정책 차별화로 더 심화
한상춘 객원논설위원 schan@hankyung.com
내년 통화정책 차별화로 더 심화
한상춘 객원논설위원 schan@hankyung.com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재테크 성과 좌우할 '세계경제 8大 미스터리'](https://img.hankyung.com/photo/201412/02.6912457.1.jpg)
가장 많이 거론되는 미스터리는 올해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주재한 재닛 옐런 미 중앙은행 의장이 금리인상에 한발 다가서면서 왜 달러화 강세를 우려했느냐는 점이다. 지난 10월 말 양적 완화 종료 이후 일관되게 달러화 강세를 걱정했다. 내년에 금리를 올리더라도 ‘인내심을 갖고(be patient)’ 추진하겠다는 것에서도 지나친 달러화 강세에 대한 우려가 엿보인다.
그 답은 지난달에 치러진 중간선거 결과에 있다. 제로 금리와 양적 완화로 상징되는 버냉키-옐런식 정책 처방은 금융위기 극복에는 효과적이었다. 하지만 주가와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빈부격차가 확대돼 집권당인 민주당이 참패했다. 공화당은 자산가들이 전통적인 지지 기반이다. 지나친 달러화 강세로 포트폴리오 자금이 유입되면 빈부격차가 더 심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중국 경기가 연일 안 좋다고 하는데 상하이지수는 3000선을 훌쩍 넘어선 것도 ‘주가가 경기를 반영하는 얼굴’이라는 이론적 토대에서 보면 이해되지 않는다. 이 의문을 풀기 위해서는 현재 성장률인 연 7%대에 대한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종전 두 자릿수대 성장률과 비교하면 ‘침체’라고 할 수 있지만 1인당 소득이 7000달러에 도달한 경제발전 단계로 본다면 ‘적정한 수준’이다.
오히려 ‘고성장’에서 ‘위안화 국제화’로 경제정책의 우선순위가 이동한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이제는 ‘성장률이 얼마나 높으냐’에 관계없이 위안화 국제화 과제가 잘 추진돼 신뢰를 얻으면 외국자금이 얼마든지 유입돼 주가가 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위안화의 국제화라는 과제는 계획보다 빨리 추진돼 기대보다 더 큰 성과를 내고 있다는 게 지배적인 평가다.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미국 영국 일본 독일 등 주요 선진국들이 근로자의 임금이 올라가기를 왜 학수고대하고 있는가 하는 점도 쉽게 이해되지 않는다. 경기를 부양하려면 임금은 내려야 한다는 것이 종전의 상식이었다.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이끄는 2기 경제팀의 경기부양책에도 이 내용이 포함돼 있다.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재테크 성과 좌우할 '세계경제 8大 미스터리'](https://img.hankyung.com/photo/201412/AA.9417527.1.jpg)
국제 유가가 폭락하는데도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들이 감산하기는커녕 오히려 증산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것도 가장 궁금해하는 현상 중 하나다. 1970년대 이후 유가가 급락할 때마다 OPEC은 감산을 통해 유가를 떠받쳐 왔다. 올 들어 유가 하락 폭이 50%에 달해 그 어느 하락기보다 큰 점을 감안하면 그 배경이 더욱 궁금하다.
이는 구조변화 때문이다. 세계가 하나의 국가가 되면서 국가 간 카르텔인 OPEC 결속력은 약화되고 있다. 원유 주도권 확보를 놓고 OPEC과 미국 셰일가스 개발업체 간 ‘치킨 게임’에서는 단기적으로 증산하는 것이 유리하다. 급한 마음에 생산을 줄여 유가를 끌어올리면 그 혜택은 고스란히 셰일가스 개발업체에 넘어가 원유 주도권을 영원히 잃어버리는 최악의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
국제유가 급락 등에 따라 일부 신흥국의 통화 가치가 위험 수위를 넘어섰는데 왜 디폴트는 발생하지 않는가 하는 점도 의문이다. 러시아 루블화 가치는 1998년 모라토리엄(국가채무 불이행) 사태 당시보다 더 떨어졌다. 같은 신흥국에 속했다 하더라도 중국, 한국 등의 통화 가치는 안정적이거나 오히려 올랐다.
외화보유 등 위기판단지표가 개선되고 금융시스템이 건전해졌다는 의미기도 하지만 근본적인 요인은 다른 데 있다. 세계가 하나의 시장인 시대에 신흥국에 위기가 발생했을 시 ‘역전염 효과(reverse spill-over effect)’로 그 어느 국가도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궁극적으로는 외화사정이 풍부한 국가나 국제통화기금(IMF)이 나설 수밖에 없다.
이 밖에 △각국 중앙은행이 돈을 푸는데 갈수록 말라가는 해당국 국민의 주머니 사정 △아베 정부 집권 3기를 맞아 아베노믹스는 탄력을 받을 것이라는데 엔·달러 환율은 하락하는 현상 △경기는 어렵다고 하면서 돈을 풀거나 금리를 내리는 데 인색한 한국은행 자세 등은 쉽게 이해되지 않는다. 세계와 한국 경제 앞날을 더 불투명하게 하는 요인들이다.
한상춘 객원논설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