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사이버 공격에 의한 原電 위험 가능성 없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긴급 사이버안보회의 결론
합수단 "한수원 퇴직자 이메일로 악성코드 전파"
합수단 "한수원 퇴직자 이메일로 악성코드 전파"
청와대 국가안보실은 25일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사이버 공격 가능성과 관련, “원전 가동 중단이나 위험한 상황이 초래할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평가했다”고 밝혔다.
안보실은 이날 청와대에서 김관진 안보실장 주재로 산업통상자원부와 국가정보원, 대검찰청, 원자력안전위원회 등 10개 부처 차관(급) 10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가사이버안보위기 평가회의’를 긴급 소집해 관련 기관의 대비태세를 점검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을 내렸다.
안보실은 이어 “원전의 제어 시스템은 외부망과 물리적으로 분리돼 있어, 외부 해킹에 의한 접근이 원천적으로 차단돼 있다”며 “오늘 회의를 통해 현재 국내에서 운영 중인 원전은 모두 정상 가동 중인 것을 재확인했다”고 설명했다.
회의에서는 한국수력원자력의 고리·월성·한빛·한울 등 4개 원전본부의 비상대비 태세를 집중 점검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함께 추가 사이버 테러 발생 가능성과 해킹 조사 진행 상황 등을 공유하며 향후 대처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보실 관계자는 “안보실을 비롯한 관계 기관들은 당분간 사이버 동향을 예의주시하면서 변화하는 상황을 분석·평가하고 적절한 대응 태세를 유지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원전 주무부처인 산업부는 비상대기 체제를 27일까지 연장해 가동하기로 했다. ‘원전반대그룹 미핵’이 한수원의 원전 자료 추가 공개와 원전에 대한 2차 파괴를 예고한 이날까지 공격 징후나 추가 공개는 없지만 비상상황 대비 체제를 유지한다는 것이다.
한편 한수원의 원전 자료 유출 사건을 수사 중인 개인정보범죄 정부합동수사단(단장 이정수 부장검사)은 지난 9일 한수원 퇴직자 명의의 개인 이메일 계정이 현직 직원들에게 300여개에 달하는 악성코드가 담긴 이메일을 대량 발송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공개했다. 합수단 관계자는 “이메일 발송에 사용된 IP와 유출 자료가 담긴 글을 올리는 데 활용한 IP를 비교한 결과 12개의 숫자 중 끝자리 하나만 다르게 나오는 등 상당한 유사점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한수원 측은 합수단의 수사상황 발표 직후 “지난 9일 월성원전 직원 이메일에 악성코드가 유입된 사실을 처음 확인하고 즉시 차단 조치했다”며 “지금까지 공개된 자료에는 9일 직전의 최신 자료가 없는 것으로 볼 때 당시 유입된 악성코드로 인해 유출된 것은 아닌 것으로 추측된다”고 설명했다. 한수원은 현재 추가 해킹 공격에 대비해 내부 PC로 들어오는 외부 메일을 전면 차단했다.
김재후/도병욱/정소람 기자 hu@hankyung.com
안보실은 이날 청와대에서 김관진 안보실장 주재로 산업통상자원부와 국가정보원, 대검찰청, 원자력안전위원회 등 10개 부처 차관(급) 10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가사이버안보위기 평가회의’를 긴급 소집해 관련 기관의 대비태세를 점검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을 내렸다.
안보실은 이어 “원전의 제어 시스템은 외부망과 물리적으로 분리돼 있어, 외부 해킹에 의한 접근이 원천적으로 차단돼 있다”며 “오늘 회의를 통해 현재 국내에서 운영 중인 원전은 모두 정상 가동 중인 것을 재확인했다”고 설명했다.
회의에서는 한국수력원자력의 고리·월성·한빛·한울 등 4개 원전본부의 비상대비 태세를 집중 점검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함께 추가 사이버 테러 발생 가능성과 해킹 조사 진행 상황 등을 공유하며 향후 대처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보실 관계자는 “안보실을 비롯한 관계 기관들은 당분간 사이버 동향을 예의주시하면서 변화하는 상황을 분석·평가하고 적절한 대응 태세를 유지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원전 주무부처인 산업부는 비상대기 체제를 27일까지 연장해 가동하기로 했다. ‘원전반대그룹 미핵’이 한수원의 원전 자료 추가 공개와 원전에 대한 2차 파괴를 예고한 이날까지 공격 징후나 추가 공개는 없지만 비상상황 대비 체제를 유지한다는 것이다.
한편 한수원의 원전 자료 유출 사건을 수사 중인 개인정보범죄 정부합동수사단(단장 이정수 부장검사)은 지난 9일 한수원 퇴직자 명의의 개인 이메일 계정이 현직 직원들에게 300여개에 달하는 악성코드가 담긴 이메일을 대량 발송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공개했다. 합수단 관계자는 “이메일 발송에 사용된 IP와 유출 자료가 담긴 글을 올리는 데 활용한 IP를 비교한 결과 12개의 숫자 중 끝자리 하나만 다르게 나오는 등 상당한 유사점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한수원 측은 합수단의 수사상황 발표 직후 “지난 9일 월성원전 직원 이메일에 악성코드가 유입된 사실을 처음 확인하고 즉시 차단 조치했다”며 “지금까지 공개된 자료에는 9일 직전의 최신 자료가 없는 것으로 볼 때 당시 유입된 악성코드로 인해 유출된 것은 아닌 것으로 추측된다”고 설명했다. 한수원은 현재 추가 해킹 공격에 대비해 내부 PC로 들어오는 외부 메일을 전면 차단했다.
김재후/도병욱/정소람 기자 h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