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내년부터 아파트 옥상과 초·중·고등학교 공터를 지역 주민에게 개방해 텃밭으로 조성하기로 했다. 텃밭 조성을 통해 마을공동체를 활성화하겠다는 취지지만 안전 문제에 대한 우려가 나오는 등 논란이 예상된다.

서울시 고위 관계자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2기 도시농업발전 마스터플랜’을 다음달께 공식 발표할 예정”이라고 28일 밝혔다. 서울의 도시농업 경쟁력을 키우고 ‘도시농부’를 육성하겠다는 박원순 서울시장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다. 박 시장은 2011년 10월 취임 직후 당초 오페라하우스가 건립될 예정이던 노들섬을 텃밭으로 바꾸는 등 도시농업 활성화에 주력하고 있다.

서울시는 안전상의 이유로 출입이 금지된 아파트 옥상을 주민에게 개방해 텃밭으로 조성할 예정이다. 정광현 서울시 민생경제과장은 “하계동 한신아파트 옥상에서 입주민들이 직접 채소를 가꾸면서 마을공동체가 활성화되고 있다”며 “이를 벤치마킹해 도심 전역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학생들의 안전 확보 때문에 외부인의 출입이 금지된 초·중·고등학교도 지역 주민들에게 적극 개방된다. 시는 서울교육청과의 협의를 거쳐 학생들뿐 아니라 지역 주민들이 함께 텃밭을 가꾸도록 유도해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이와 함께 개발제한구역 및 재개발이 지지부진한 지역도 텃밭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옥상에 텃밭을 조성하는 민간 기업에는 재정 지원 등의 인센티브도 줄 예정이다. 또 시는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해 도시농업 전담조직을 두고, 농업업무 전문관(과장급)을 신설하는 등의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텃발으로 활용 중인 노들섬은 도시농업의 상징적인 차원에서 향후 문화센터 등이 건립되더라도 일부 공간을 텃밭으로 남겨두기로 했다.

서울시의 이 같은 방침이 주민과 학생들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는 의견도 시 내부에서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대부분 도심 아파트는 추락사고 등을 막기 위해 출입을 차단하고 있다. 일선 초·중·고등학교는 2010년 서울 영등포구의 한 초등학교 운동장에서 A양을 납치해 성폭행한 ‘김수철 사건’ 이후 학교마다 학교보안관을 배치해 외부인의 출입을 막고 있다. 아파트 옥상과 학교가 개방될 경우 지역 주민과 학부모의 거센 반발이 예상된다. 시 관계자는 “안전 문제를 불식하기 위해 옥상과 학교엔 텃밭을 직접 가꾸는 주민들만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