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창의문화 담겼다…'뇌졸중 예고모자' 최고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창조상 수상작 발표
뇌졸중을 예고하는 모자가 삼성전자가 임직원들의 창조 역량을 높이기 위해 올해 신설한 창조상의 최고 영예인 대장에 뽑혔다.
삼성전자는 29일 뇌졸중 예고모자는 머리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기기 형태로 뇌파를 분석해 뇌졸중은 물론 우울증, 뇌전증까지 진단·예측할 수 있게 하는 아이디어라며 이같이 발표했다. 머리에 닿는 기기 재질을 기존의 금속 대신 전도성 실리콘으로 대체하고 젤이나 식염수를 사용할 필요가 없도록 편의성도 높였다.
이 아이디어는 올해 초 임직원을 대상으로 아이디어의 사업화를 지원하겠다며 공모해 선정한 C랩(Creative Lab) 과제로 직원 5명이 주도했다.
금장에는 3차원(3D) 낸드플래시 개발 과정에서 난제를 조기 해결한 팀이 받았고, 은장은 사내 집단지성시스템인 모자이크에서 시범 서비스를 진행한 모바일용 애플리케이션(앱) 개발팀이 수상했다. 동장은 모자이크에서 122건의 아이디어를 게재하고 아이디어 평가 참여 547건, 타인이 제안한 아이디어에 75건 참여를 기록한 연구원이 뽑혔다.
삼성전자는 지난 6월부터 세계 임직원 30만명의 역량을 모으기 위해 집단지성시스템인 모자이크를 운영하는 등 임직원 창의 역량 확대에 힘쓰고 있다. 모자이크에는 매일 약 5만명의 임직원이 접속하고 있으며 6개월간 1만여건의 아이디어가 모였다. 이 중 특허 출원 39건을 포함해 모두 70건이 사업화에 기여했다.
또 경영진이 참여하는 온라인 대토론회를 연 데 이어 내년에는 세계 임직원이 참여하는 토론회를 진행하고 C랩 프로젝트 역시 해외 연구소에 근무하고 있는 임직원에게도 참여하도록 독려할 계획이다.
이재일 삼성전자 창의개발센터장(상무)은 “창의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회사에서 전폭적인 지원에 나서면서, 아이디어도 속속 나오고 있다”며 “내년에도 사내 창조역량을 더욱 키워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
삼성전자는 29일 뇌졸중 예고모자는 머리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기기 형태로 뇌파를 분석해 뇌졸중은 물론 우울증, 뇌전증까지 진단·예측할 수 있게 하는 아이디어라며 이같이 발표했다. 머리에 닿는 기기 재질을 기존의 금속 대신 전도성 실리콘으로 대체하고 젤이나 식염수를 사용할 필요가 없도록 편의성도 높였다.
이 아이디어는 올해 초 임직원을 대상으로 아이디어의 사업화를 지원하겠다며 공모해 선정한 C랩(Creative Lab) 과제로 직원 5명이 주도했다.
금장에는 3차원(3D) 낸드플래시 개발 과정에서 난제를 조기 해결한 팀이 받았고, 은장은 사내 집단지성시스템인 모자이크에서 시범 서비스를 진행한 모바일용 애플리케이션(앱) 개발팀이 수상했다. 동장은 모자이크에서 122건의 아이디어를 게재하고 아이디어 평가 참여 547건, 타인이 제안한 아이디어에 75건 참여를 기록한 연구원이 뽑혔다.
삼성전자는 지난 6월부터 세계 임직원 30만명의 역량을 모으기 위해 집단지성시스템인 모자이크를 운영하는 등 임직원 창의 역량 확대에 힘쓰고 있다. 모자이크에는 매일 약 5만명의 임직원이 접속하고 있으며 6개월간 1만여건의 아이디어가 모였다. 이 중 특허 출원 39건을 포함해 모두 70건이 사업화에 기여했다.
또 경영진이 참여하는 온라인 대토론회를 연 데 이어 내년에는 세계 임직원이 참여하는 토론회를 진행하고 C랩 프로젝트 역시 해외 연구소에 근무하고 있는 임직원에게도 참여하도록 독려할 계획이다.
이재일 삼성전자 창의개발센터장(상무)은 “창의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회사에서 전폭적인 지원에 나서면서, 아이디어도 속속 나오고 있다”며 “내년에도 사내 창조역량을 더욱 키워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