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 집권 2년에 대한 여야의 평가는 극명하게 엇갈렸다. 여당 의원들은 A·B학점 위주의 후한 평가를 내린 반면 야당 의원은 대부분 D학점 이하 낙제점을 줬다. 설문에 응답한 여당 의원 57명 중 최고 학점인 A학점을 준 의원은 19명(33.3%)이었고, C학점을 부여한 의원은 3명(5.3%)이었다. 야당 의원 44명 중 A·B학점을 준 의원은 한 명도 없었다. C학점은 12명(27.3%)이었고, 나머지 32명(72.7%)은 ‘D학점 이하’라고 응답했다.

[2015 정치권 화두] 박근혜 정부 2년 엇갈린 평가…B 33%·D 31%
박근혜 정부의 최대 성과로는 ‘해외순방 외교’(21.7%)가 첫손에 꼽혔다. 다음으로 ‘잘한 게 없다’가 19.8%로 2위였으며 모두 야당 의원이 한 답변이었다. 이어 △‘전두환법’ 통과와 재산환수 마무리(18.8%) △원칙에 입각한 대북정책(17.8%) △창조경제 밑그림 등 경제체질 강화(13.8%) △한·중 자유무역협정 체결(8.9%) 등의 순이었다.

박근혜 정부가 가장 잘못한 일로는 ‘소통 부재에 따른 비선실세 국정개입 논란 자초’를 지적한 의원이 절반 이상(50.4%)을 차지했다. 여당 의원의 38.6%(22명)가 이번 사건을 박근혜 정부의 가장 큰 오점이라고 지적했다. ‘국무총리 후보자 낙마 등 인사검증 실패’(30.6%)를 꼽은 여야 의원도 적지 않았다. ‘세월호 참사 대응 실패’(9.9%)와 ‘지지부진한 규제완화 및 구조개혁’(5.9%) 등을 질타한 의원의 비율은 한 자릿수에 머물렀다.

박 대통령이 남은 임기 3년간 집중해야 할 국정 과제도 여야의 생각이 크게 달랐다. 여당 의원은 다수(85.9%)가 ‘경제 활성화와 성장 잠재력 확충’에 주력해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야당 의원들은 ‘복지와 사회 안전망 확충’(61.4%)과 ‘남북관계 개선 및 호혜적 대북 정책 추진’(18.2%)을 주요 과제로 제시했다.

정치권 관계자는 “박근혜 정부를 바라보는 여야 의원 간 인식의 격차가 너무나도 큰 상황”이라며 “박 대통령이 연초부터 쉽지 않은 각종 개혁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려면 대국회 소통부터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