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정치권 화두] 박근혜 정부 2년 엇갈린 평가…B 33%·D 31%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대 성과는 순방외교
소통·인사엔 '부정적'
소통·인사엔 '부정적'
박근혜 정부 집권 2년에 대한 여야의 평가는 극명하게 엇갈렸다. 여당 의원들은 A·B학점 위주의 후한 평가를 내린 반면 야당 의원은 대부분 D학점 이하 낙제점을 줬다. 설문에 응답한 여당 의원 57명 중 최고 학점인 A학점을 준 의원은 19명(33.3%)이었고, C학점을 부여한 의원은 3명(5.3%)이었다. 야당 의원 44명 중 A·B학점을 준 의원은 한 명도 없었다. C학점은 12명(27.3%)이었고, 나머지 32명(72.7%)은 ‘D학점 이하’라고 응답했다.
박근혜 정부의 최대 성과로는 ‘해외순방 외교’(21.7%)가 첫손에 꼽혔다. 다음으로 ‘잘한 게 없다’가 19.8%로 2위였으며 모두 야당 의원이 한 답변이었다. 이어 △‘전두환법’ 통과와 재산환수 마무리(18.8%) △원칙에 입각한 대북정책(17.8%) △창조경제 밑그림 등 경제체질 강화(13.8%) △한·중 자유무역협정 체결(8.9%) 등의 순이었다.
박근혜 정부가 가장 잘못한 일로는 ‘소통 부재에 따른 비선실세 국정개입 논란 자초’를 지적한 의원이 절반 이상(50.4%)을 차지했다. 여당 의원의 38.6%(22명)가 이번 사건을 박근혜 정부의 가장 큰 오점이라고 지적했다. ‘국무총리 후보자 낙마 등 인사검증 실패’(30.6%)를 꼽은 여야 의원도 적지 않았다. ‘세월호 참사 대응 실패’(9.9%)와 ‘지지부진한 규제완화 및 구조개혁’(5.9%) 등을 질타한 의원의 비율은 한 자릿수에 머물렀다.
박 대통령이 남은 임기 3년간 집중해야 할 국정 과제도 여야의 생각이 크게 달랐다. 여당 의원은 다수(85.9%)가 ‘경제 활성화와 성장 잠재력 확충’에 주력해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야당 의원들은 ‘복지와 사회 안전망 확충’(61.4%)과 ‘남북관계 개선 및 호혜적 대북 정책 추진’(18.2%)을 주요 과제로 제시했다.
정치권 관계자는 “박근혜 정부를 바라보는 여야 의원 간 인식의 격차가 너무나도 큰 상황”이라며 “박 대통령이 연초부터 쉽지 않은 각종 개혁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려면 대국회 소통부터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
박근혜 정부의 최대 성과로는 ‘해외순방 외교’(21.7%)가 첫손에 꼽혔다. 다음으로 ‘잘한 게 없다’가 19.8%로 2위였으며 모두 야당 의원이 한 답변이었다. 이어 △‘전두환법’ 통과와 재산환수 마무리(18.8%) △원칙에 입각한 대북정책(17.8%) △창조경제 밑그림 등 경제체질 강화(13.8%) △한·중 자유무역협정 체결(8.9%) 등의 순이었다.
박근혜 정부가 가장 잘못한 일로는 ‘소통 부재에 따른 비선실세 국정개입 논란 자초’를 지적한 의원이 절반 이상(50.4%)을 차지했다. 여당 의원의 38.6%(22명)가 이번 사건을 박근혜 정부의 가장 큰 오점이라고 지적했다. ‘국무총리 후보자 낙마 등 인사검증 실패’(30.6%)를 꼽은 여야 의원도 적지 않았다. ‘세월호 참사 대응 실패’(9.9%)와 ‘지지부진한 규제완화 및 구조개혁’(5.9%) 등을 질타한 의원의 비율은 한 자릿수에 머물렀다.
박 대통령이 남은 임기 3년간 집중해야 할 국정 과제도 여야의 생각이 크게 달랐다. 여당 의원은 다수(85.9%)가 ‘경제 활성화와 성장 잠재력 확충’에 주력해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야당 의원들은 ‘복지와 사회 안전망 확충’(61.4%)과 ‘남북관계 개선 및 호혜적 대북 정책 추진’(18.2%)을 주요 과제로 제시했다.
정치권 관계자는 “박근혜 정부를 바라보는 여야 의원 간 인식의 격차가 너무나도 큰 상황”이라며 “박 대통령이 연초부터 쉽지 않은 각종 개혁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려면 대국회 소통부터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