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 집권 3년차 신년 기자회견 12일 … 발표 내용 '주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박근혜 대통령이 집권 3년차 국정운영 구상을 밝히는 신년 기자회견이 11일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집권 2년차인 지난해 초에 이어 두 번째 회견의 최대 관전포인트는 박 대통령이 최근 불거진 국정난맥상과 관련해 쏟아지는 '인적쇄신' 요구에 어떤 답을 내놓느냐다.
지난해말 정국을 뒤흔든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 문건파동 이후 여권에서조차 인적 쇄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분출한 데다 지난 9일 김영한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항명 사태'가 터지며 쇄신 요구는 더욱 거세졌다.
최근까지만 해도 청와대 내부에서는 신년 회견에서 인적쇄신과 관련한 구체적인 언급은 나오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했다.
박 대통령이 국면전환용 인사에 부정적인데다 검찰 수사에서 '측근 3인방' 등을 둘러싼 의혹이 '사실무근'으로 판명났기 때문이다. 하지만 김 전 수석의 예기치 않은 항명파문을 계기로 박 대통령에 대한 인사 압박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집권 2년차인 지난해 초에 이어 두 번째 회견의 최대 관전포인트는 박 대통령이 최근 불거진 국정난맥상과 관련해 쏟아지는 '인적쇄신' 요구에 어떤 답을 내놓느냐다.
지난해말 정국을 뒤흔든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 문건파동 이후 여권에서조차 인적 쇄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분출한 데다 지난 9일 김영한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항명 사태'가 터지며 쇄신 요구는 더욱 거세졌다.
최근까지만 해도 청와대 내부에서는 신년 회견에서 인적쇄신과 관련한 구체적인 언급은 나오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했다.
박 대통령이 국면전환용 인사에 부정적인데다 검찰 수사에서 '측근 3인방' 등을 둘러싼 의혹이 '사실무근'으로 판명났기 때문이다. 하지만 김 전 수석의 예기치 않은 항명파문을 계기로 박 대통령에 대한 인사 압박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