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한국 화장품 소비 확고…코스온·에이씨티 추천"-NH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NH투자증권은 21일 중국인들을 대상으로 한국제품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한 결과 '화장품'이 절대적으로 높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코스온, 에이씨티 등을 중국 소비 관련 최선호주로 제시했다.
하석원 연구원은 "중국 현지에 가서 직접 확인하니 중국인들이 구매한 한국제품 중 최고 선호제품은 단연 화장품이었다"며 "음식료(프랜차이즈)와 가정·주방용품·가전 등이 뒤를 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제품을 구매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구매 결정 요인은 '품질'이었다"며 "한국제품의 브랜드 이미지와 품질이 맞물려 높은 신뢰도를 형성했고, 이는 중국 내수시장 성장 수혜로 이어지고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각광받았던 한국제품 중 향후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제품은 의류, 가전 등이라고 진단했다.
의류와 가전의 경우 글로벌 브랜드 및 중국 현지 브랜드가 다양해 중국 소비자의 선택폭이 넓기 때문이다. 결국 브랜드 차별성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면 현지에서 부각되기 힘들 것이란 설명.
하 연구원은 "한국제품 중 중국인들의 화장품 소비가 확고한만큼 코스온과 에이씨티가 중국 소비 관련 추천주"라며 "프랜차이즈 성장 가능성이 있는 MPK, 브랜드 차별성에 기인한 경쟁력을 가진 엠케이트렌드도 관심주"라고 꼽았다. 이밖에 삼광글라스, 인바디도 중국 시장에서 관심을 받을 것으로 판단했다.
한경닷컴 권민경 기자 kyoung@hankyung.com
하석원 연구원은 "중국 현지에 가서 직접 확인하니 중국인들이 구매한 한국제품 중 최고 선호제품은 단연 화장품이었다"며 "음식료(프랜차이즈)와 가정·주방용품·가전 등이 뒤를 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제품을 구매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구매 결정 요인은 '품질'이었다"며 "한국제품의 브랜드 이미지와 품질이 맞물려 높은 신뢰도를 형성했고, 이는 중국 내수시장 성장 수혜로 이어지고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각광받았던 한국제품 중 향후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제품은 의류, 가전 등이라고 진단했다.
의류와 가전의 경우 글로벌 브랜드 및 중국 현지 브랜드가 다양해 중국 소비자의 선택폭이 넓기 때문이다. 결국 브랜드 차별성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면 현지에서 부각되기 힘들 것이란 설명.
하 연구원은 "한국제품 중 중국인들의 화장품 소비가 확고한만큼 코스온과 에이씨티가 중국 소비 관련 추천주"라며 "프랜차이즈 성장 가능성이 있는 MPK, 브랜드 차별성에 기인한 경쟁력을 가진 엠케이트렌드도 관심주"라고 꼽았다. 이밖에 삼광글라스, 인바디도 중국 시장에서 관심을 받을 것으로 판단했다.
한경닷컴 권민경 기자 k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