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인생] 딸 아이 말못하는 고민…방치하고 있진 않나요
성장 발육이 빨라지면서 여자 아이들의 경우 초등학교 고학년부터 스트레스나 생활습관 변화로 성조숙증, 질염 증상 등을 경험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실제로 서울시 여성가족재단이 2012년 서울지역 여고생 2043명을 대상으로 ‘성 건강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45.4%가 냉·대하 등 질염에 관한 고민을 가지고 있었다.

성장 이상 25.6%, 성병 9.9% 등도 주요한 고민으로 나타났다. 많은 청소년이 여성 민감부위 증상을 경험하고 고민하지만 정작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질염은 여성 10명 중 7명이 경험할 정도로 매우 흔하지만 성인들도 대수롭지 않게 여겨 방치하기 쉽다. 가려움증, 분비물 증가, 냄새 등의 증상은 여성이라면 흔하게 경험하는 질환이다. 스트레스, 호르몬 변화, 면역력 약화, 꽉 끼는 옷 착용, 대중목욕탕 이용 등에 의해 이런 증상이 더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청소년은 학업 스트레스나 장시간 앉아서 생활하는 환경, 스키니진·레깅스·스타킹 착용 등 여성 민감부위 건강을 해칠 수 있는 요인들에 노출되기 쉽다. 하지만 아이들은 냄새나 분비물 증가 등의 증상을 숨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방치한다면 증상이 빈번하게 나타나고 악화될 수 있어 올바른 관리가 중요하다. 따라서 초경을 시작한 자녀를 둔 어머니라면 여성 민감부위 증상에 대한 올바른 교육과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여성 민감부위 증상은 생활습관 개선과 여성청결제 사용으로 충분히 관리할 수 있다. 사탕이나 초콜릿 등 당분 함량이 높은 음식은 민감부위 감염을 쉽게 발생하게 하므로 섭취를 줄이고, 스키니진·레깅스·스타킹 등 신체를 꽉 조여 통풍이 되지 않는 옷들도 장시간 착용하지 않도록 한다. 속옷 역시 통풍이 되지 않는 나일론 소재나 레이스 등은 피하고 가급적 면 소재 제품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또 질 상태나 분비물 변화 등과 같이 신체에 나타나는 증상을 부끄럽게 여기지 말고 주기적으로 체크하도록 돕는다. 만약 평상시와 달리 분비물 양이나 색이 달라진다거나 불쾌한 냄새가 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자연스럽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한다.

어린 시절 습관은 성인이 돼서도 영향을 미치는 만큼 올바른 세정법에 대한 교육도 필요하다. 자녀를 둔 어머니들도 잘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민감한 부위 세정 시 알칼리성 비누나 보디클렌저를 사용하는 것은 오히려 질 내 산도 균형을 해칠 수 있다. 따라서 질 건강을 위해서는 질 내 산성환경을 유지해 유익균 회복 및 정상 세균군 균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여성청결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냄새, 가려움증, 분비물 증가 등을 유발하는 원인균을 제거할 수 있는 제품인지 따져봐야 한다. 여성청결제는 주 1~2회 정도 꾸준히 사용하고 증상이 지속된다면 산부인과를 방문해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안전하다.

천은경 < 강남미즈메디병원 산부인과 과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