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간판 女의원 나경원-박영선, 오픈프라이머리 '입씨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박영선 '톱투 방식' 주장에
나경원 "민주주의에 어긋나"
여야 함께 도입엔 한목소리
나경원 "민주주의에 어긋나"
여야 함께 도입엔 한목소리
나경원 새누리당 의원과 박영선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오픈 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도입을 두고 입심 대결을 펼쳤다. 여야 의원과 전문가들이 22일 양당 혁신기구 주최로 열린 오픈 프라이머리 도입을 토론하는 자리에서다.
두 의원 모두 당내에서 인지도가 높은 대표적 여성 의원인 데다 2007년 대선 당시에는 이명박 전 대통령의 ‘BBK 의혹’을 둘러싸고 저격수와 수비수로 나서 공방을 벌인 바 있어 이날 토론회에 정치권의 이목이 쏠렸다.
나 의원과 박 의원은 모두 정치권의 계파 갈등을 없애고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준다는 취지에서 오픈 프라이머리가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각론에서는 이견을 보였다.
나 의원은 과거 친박(친박근혜)계와 친이(친이명박)계 사이의 ‘공천 학살’을 언급하며 “그동안 공천을 받으려면 지도부의 눈치를 봐야 했는데, (오픈 프라이머리를 도입할 경우) 국민 눈치를 보는 정치를 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의원 역시 “(오픈 프라이머리로) 여당은 ‘청와대 거수기’에서 해방되고, 야당은 계파 정치를 청산할 수 있다”고 했다.
나 의원은 박 의원이 주장한 ‘톱투(top two) 프라이머리’ 도입을 두고 이견을 보였다. ‘톱투 프라이머리’는 정당 소속에 관계 없이 모든 후보자가 예비선거에 참가하고, 최고 득표자 2명이 본선에서 겨루는 방식이다. 예비경선 결과에 따라 본선에 오른 두 후보 모두 같은 당 소속일 수도 있다.
박 의원은 “(톱투 프라이머리를 통해) 영·호남은 ‘공천=당선’이라는 현실에서 벗어나 열심히 유권자를 만나고 민심을 훑은 후보자가 당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나 의원은 “톱투 프라이머리를 할 경우 어떤 사람은 새누리당 후보를 뽑고 싶은데 새누리당 후보 자체가 없을 수 있다. 이는 정당 민주주의에 반하는 것 아닌가”라고 반대했다.
나 의원은 ‘역선택’을 방지하기 위해 여야 동시 오픈 프라이머리 날짜를 선거일 전 60일 이후 첫 번째 토요일로 정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박 의원은 나 의원의 취지에 공감하며 “같은 날 오픈 프라이머리를 시행한다는 취지에는 사실 지난 18대 국회 때 여야 합의가 있었다. 그러나 당시 한나라당이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바뀌면서 합의가 파기됐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이날 토론회에 앞서 김문수 새누리당 보수혁신특별위원장과 악수하면서 나 의원과는 악수하지 않는 등 다소 어색한 상황을 연출하기도 했다.
고재연 기자 yeon@hankyung.com
두 의원 모두 당내에서 인지도가 높은 대표적 여성 의원인 데다 2007년 대선 당시에는 이명박 전 대통령의 ‘BBK 의혹’을 둘러싸고 저격수와 수비수로 나서 공방을 벌인 바 있어 이날 토론회에 정치권의 이목이 쏠렸다.
나 의원과 박 의원은 모두 정치권의 계파 갈등을 없애고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준다는 취지에서 오픈 프라이머리가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각론에서는 이견을 보였다.
나 의원은 과거 친박(친박근혜)계와 친이(친이명박)계 사이의 ‘공천 학살’을 언급하며 “그동안 공천을 받으려면 지도부의 눈치를 봐야 했는데, (오픈 프라이머리를 도입할 경우) 국민 눈치를 보는 정치를 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의원 역시 “(오픈 프라이머리로) 여당은 ‘청와대 거수기’에서 해방되고, 야당은 계파 정치를 청산할 수 있다”고 했다.
나 의원은 박 의원이 주장한 ‘톱투(top two) 프라이머리’ 도입을 두고 이견을 보였다. ‘톱투 프라이머리’는 정당 소속에 관계 없이 모든 후보자가 예비선거에 참가하고, 최고 득표자 2명이 본선에서 겨루는 방식이다. 예비경선 결과에 따라 본선에 오른 두 후보 모두 같은 당 소속일 수도 있다.
박 의원은 “(톱투 프라이머리를 통해) 영·호남은 ‘공천=당선’이라는 현실에서 벗어나 열심히 유권자를 만나고 민심을 훑은 후보자가 당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나 의원은 “톱투 프라이머리를 할 경우 어떤 사람은 새누리당 후보를 뽑고 싶은데 새누리당 후보 자체가 없을 수 있다. 이는 정당 민주주의에 반하는 것 아닌가”라고 반대했다.
나 의원은 ‘역선택’을 방지하기 위해 여야 동시 오픈 프라이머리 날짜를 선거일 전 60일 이후 첫 번째 토요일로 정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박 의원은 나 의원의 취지에 공감하며 “같은 날 오픈 프라이머리를 시행한다는 취지에는 사실 지난 18대 국회 때 여야 합의가 있었다. 그러나 당시 한나라당이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바뀌면서 합의가 파기됐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이날 토론회에 앞서 김문수 새누리당 보수혁신특별위원장과 악수하면서 나 의원과는 악수하지 않는 등 다소 어색한 상황을 연출하기도 했다.
고재연 기자 y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