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금융실태 봤더니…지식 높아도 활용능력 떨어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인들은 비교적 높은 금융 이해력을 갖고 있지만, 금융 지식이 실제 금융 행위로는 이어지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1일 금융감독원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이드라인에 맞춰 성인 2400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 성인의 금융 이해력은 22점 만점에 14.9점에 달했다.
이는 앞서 비슷한 조사를 벌인 OECD 14개 회원국과 비교할 때 독일(15.0점)에 이어 2위에 해당하는 점수다. 영국(14.1점)과 노르웨이(13.9점) 등은 한국 다음 순이었다.
그러나 이번 조사에서 한국인의 금융 행위는 5.1점에 그쳐 OECD 평균치(5.3점)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
금융 태도 점수도 3.2점으로 OECD 평균치(3.3점)를 다소 밑돌았다.
금융 이해력은 대출 이자의 개념과 분산 투자 등 개념에 대한 이해도를 측정한 것이고, 금융 행위는 소득과 지출 관리나 재무설계, 금융거래 등을 실제로 얼마나 잘하는지 평가한 것이다. 금융 태도는 저축이나 신용거래 성향 등 태도를 점수화한 것이다.
연령층별로는 40대의 금융 이해력이 가장 뛰어났고, 30대, 50~64세, 20대, 65세 이상 등이 뒤를 이었다.
20대는 미래 대비 재무설계 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편이었고, 고령자는 복리계산 등 수리적 금융 지식이 약했다.
지역별로는 시·도 지역보다는 군·읍·면 지역 거주자의 금융 지식이 약한 편이었다.
계층별로는 고소득층보다 저소득층의 점수가 낮았다.특히 탈북민이나 다문화가족은 금융지식이 부족한 경향을 보였다.
금감원은 이번 조사를 계기로 학교 금융교육을 내실화하고 다문화가족, 탈북민 등 소외계층에 대한 맞춤형 교육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1일 금융감독원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이드라인에 맞춰 성인 2400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 성인의 금융 이해력은 22점 만점에 14.9점에 달했다.
이는 앞서 비슷한 조사를 벌인 OECD 14개 회원국과 비교할 때 독일(15.0점)에 이어 2위에 해당하는 점수다. 영국(14.1점)과 노르웨이(13.9점) 등은 한국 다음 순이었다.
그러나 이번 조사에서 한국인의 금융 행위는 5.1점에 그쳐 OECD 평균치(5.3점)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
금융 태도 점수도 3.2점으로 OECD 평균치(3.3점)를 다소 밑돌았다.
금융 이해력은 대출 이자의 개념과 분산 투자 등 개념에 대한 이해도를 측정한 것이고, 금융 행위는 소득과 지출 관리나 재무설계, 금융거래 등을 실제로 얼마나 잘하는지 평가한 것이다. 금융 태도는 저축이나 신용거래 성향 등 태도를 점수화한 것이다.
연령층별로는 40대의 금융 이해력이 가장 뛰어났고, 30대, 50~64세, 20대, 65세 이상 등이 뒤를 이었다.
20대는 미래 대비 재무설계 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편이었고, 고령자는 복리계산 등 수리적 금융 지식이 약했다.
지역별로는 시·도 지역보다는 군·읍·면 지역 거주자의 금융 지식이 약한 편이었다.
계층별로는 고소득층보다 저소득층의 점수가 낮았다.특히 탈북민이나 다문화가족은 금융지식이 부족한 경향을 보였다.
금감원은 이번 조사를 계기로 학교 금융교육을 내실화하고 다문화가족, 탈북민 등 소외계층에 대한 맞춤형 교육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