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콘텐츠 전송 더 빠르게…SKB, 네트워크 시장 진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CND 사업자 차이나넷센터와 업무 협약
늘어나는 ‘유커(遊客·중국인 관광객)’가 한국과 중국 간 통신 서비스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SK브로드밴드는 3일 중국 CDN 사업자인 차이나넷센터와 함께 업무협약(MOU)을 맺고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사업 확대에 나선다고 발표했다.
CDN은 동영상 게임 등 대용량의 콘텐츠를 안정적으로 빠르게 전송하기 위해 고안된 기술이다. 한국을 찾는 중국 관광객이 증가함에 따라 동영상 여행정보 게임 등을 위해 한국에서 중국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는 양이 늘어나고 있다. 유커들이 한국에서도 원활한 서비스를 요구함에 따라 국내에 서버를 두고 CDN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중국 기업이 늘어나고 있다. 이 같은 수요를 활용해 국내 기업은 중국 통신기업과 업무 제휴를 맺어 중국 진출의 교두보로 삼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두 회사는 양사의 기업 고객이 상대 국가에 진출할 때 CDN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차이나넷센터는 국내 SK브로드밴드의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고, SK브로드밴드는 차이나넷센터가 중국 전역에 보유하고 있는 600여개의 네트워크 거점을 확보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차이나넷센터는 해외 기업이 중국에 진출해 콘텐츠 사업을 할 때 반드시 필요한 인터넷 콘텐츠 제공자(ICP) 인허가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송기익 SK브로드밴드 정보통신기술(ICT) 사업본부장은 “이번 협력으로 한국 기업이 중국에 진출해 콘텐츠 사업을 하고자 할 때, 보다 쉽고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김보영 기자 wing@hankyung.com
CDN은 동영상 게임 등 대용량의 콘텐츠를 안정적으로 빠르게 전송하기 위해 고안된 기술이다. 한국을 찾는 중국 관광객이 증가함에 따라 동영상 여행정보 게임 등을 위해 한국에서 중국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는 양이 늘어나고 있다. 유커들이 한국에서도 원활한 서비스를 요구함에 따라 국내에 서버를 두고 CDN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중국 기업이 늘어나고 있다. 이 같은 수요를 활용해 국내 기업은 중국 통신기업과 업무 제휴를 맺어 중국 진출의 교두보로 삼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두 회사는 양사의 기업 고객이 상대 국가에 진출할 때 CDN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차이나넷센터는 국내 SK브로드밴드의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고, SK브로드밴드는 차이나넷센터가 중국 전역에 보유하고 있는 600여개의 네트워크 거점을 확보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차이나넷센터는 해외 기업이 중국에 진출해 콘텐츠 사업을 할 때 반드시 필요한 인터넷 콘텐츠 제공자(ICP) 인허가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송기익 SK브로드밴드 정보통신기술(ICT) 사업본부장은 “이번 협력으로 한국 기업이 중국에 진출해 콘텐츠 사업을 하고자 할 때, 보다 쉽고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김보영 기자 w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