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 축소 vs 증세…엇갈리는 與] "복지 구조조정이 먼저"라는 金…"증세 논의 시작하자"는 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새누리 지도부·정책통 의원 해법 '제각각'
김무성 '구조조정=복지 축소' 의미인지 모호
'中부담·中복지' 주장 유승민 "증세론자 아냐"
김무성 '구조조정=복지 축소' 의미인지 모호
'中부담·中복지' 주장 유승민 "증세론자 아냐"
새누리당 지도부가 현 정부의 ‘증세 없는 복지’ 철회를 주장하고 나섰지만 해법은 제각각이다. 복지 수준을 어느 정도로 할지, 증세는 어떻게 할지를 놓고 지도부 내 의견도 다르다. 해법도 추상적일 뿐 구체적이지 않다.
당내 정책통 의원들 사이에선 “지도부가 책임지지 못할 정치적 구호를 던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복지 축소냐, 증세냐’의 문제는 단순 이분법적으로 접근할 이슈가 아닌 데다 표 앞에선 언제든지 접을 수밖에 없는 구호인데, 정치적 수사(修辭)로 남발되고 있다는 것이다.
◆최고위원들, 김무성 대표 두둔
4일 열린 새누리당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선 전날 김무성 대표의 연설이 화제가 됐다. “증세 없는 복지는 국민을 속이는 것”이라며 정부와 청와대를 비판한 연설을 두고서다.
최고위원들은 너도나도 “김 대표가 복지와 증세 문제를 잘 지적했다”고 두둔했다. 하지만 정작 증세 없는 복지를 철회한다면 그 후에는 어떻게 할지에 대해선 논의가 없었다. 단지 “공개적으로 논의해야 한다”는 원론뿐이었다.
새누리당의 한 정책통 의원은 “증세 없는 복지를 공격했지만 어떻게 하자는 것이냐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은 자신 있게 얘기하지 못하고 있다”며 “누구나 얘기할 수 있는 총론적인 정치적 수사만 있을 뿐 각론이 없다”고 지적했다.
김 대표는 지난 3일 국회 연설에서 “복지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며 복지 지출 축소를 시사하는 발언을 했다. 일각에선 박근혜 대통령의 공약으로 시작된 무상보육 등 무상복지를 손질할 것이란 예상이 나왔지만, 이 점에 대해 방향이 불분명한 데다 지도부 간 생각도 다르다.
◆서로 다른 지도부 주장
김 대표가 언급한 ‘복지 구조조정’이 직접적인 복지 축소를 의미한다면 사실 여당으로선 가장 먼저 손댈 수 있는 것이 무상복지다. 소득 수준에 상관없이 대다수에게 복지 혜택을 주는 기초연금이나 무상보육, 무상급식 등이 대상이다. 새누리당은 이미 무상급식 및 무상보육과 관련한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고 있으며 3월 말께 대안을 내놓을 계획이다. 경우에 따라선 기초연금 수혜대상(현재 소득 하위 70%)을 줄이거나 무상보육·급식 대상자를 축소할 수도 있다.
하지만 유승민 원내대표 생각은 차이가 있다. 유 원내대표는 복지 수준을 지금보다 늘려야 한다는 관점을 갖고 있다. 그는 지난 3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고령화 속도와 성장률 추이를 감안하고 양극화 해소도 달성하려면 ‘중부담-중복지’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정치적 수사만 난무
김 대표는 ‘복지 구조조정’을 언급했지만 구조조정이 구체적으로 뭘 의미하는지는 모호하다. 김 대표는 “복지 지출의 중복과 비효율을 없애야 한다”고 설명했지만 이 정도라면 복지 축소와는 거리가 있다. 여당 관계자는 “김 대표의 복지 구조조정은 복지 지출을 줄이자는 것보다는 전달체계 과정에서 낭비되는 지출을 줄여보자는 것”이라며 “선거가 없는 해라지만 표를 깎아먹는 복지 축소를 당 대표가 어떻게 주장할 수 있겠느냐”고 했다.
정부 관계자는 “지출의 중복과 비효율을 없애자는 것은 현 정부도 줄기차게 추진하고 있는 정책”이라며 “이를 복지 구조조정이라고 표현한다면 정치적 수사와 다를 바 없다”고 꼬집었다.
유 원내대표도 ‘중부담-중복지’가 가야 할 방향이라고 얘기하면서도 증세를 추진할 것이냐는 질문에는 “증세론자가 아니다”며 앞뒤가 맞지 않는 주장을 펴고 있다.
◆정책통 의원들도 엇갈려
지도부가 제시하는 해법에 대한 당내 정책통 의원들의 의견도 엇갈린다. 이한구 의원은 “중부담-중복지는 세금 올려서 복지를 늘리자는 것인데, 우리나라 경제구조에서는 굉장히 위험한 생각”이라며 “복지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부터 시작해야지 덜컥 법인세도 원점에서 재검토할 수 있다고 얘기하면 경제 방향 자체가 꼬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강석훈 의원도 “아직은 세금을 걷지 않고도 공약에서 제시한 복지를 맞추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하는 시점”이라며 “증세 논의보다는 어떻게 하면 경제를 빨리 활성화해 세수를 늘릴 것인가에 대한 대안을 찾는 데 우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비해 나성린·이종훈 의원 등은 “박근혜식 증세가 한계에 도달했으니 증세를 본격 논의해야 한다”며 “무상복지도 손보고 증세도 진지하게 검토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정종태/조수영/은정진 기자 jtchung@hankyung.com
당내 정책통 의원들 사이에선 “지도부가 책임지지 못할 정치적 구호를 던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복지 축소냐, 증세냐’의 문제는 단순 이분법적으로 접근할 이슈가 아닌 데다 표 앞에선 언제든지 접을 수밖에 없는 구호인데, 정치적 수사(修辭)로 남발되고 있다는 것이다.
◆최고위원들, 김무성 대표 두둔
4일 열린 새누리당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선 전날 김무성 대표의 연설이 화제가 됐다. “증세 없는 복지는 국민을 속이는 것”이라며 정부와 청와대를 비판한 연설을 두고서다.
최고위원들은 너도나도 “김 대표가 복지와 증세 문제를 잘 지적했다”고 두둔했다. 하지만 정작 증세 없는 복지를 철회한다면 그 후에는 어떻게 할지에 대해선 논의가 없었다. 단지 “공개적으로 논의해야 한다”는 원론뿐이었다.
새누리당의 한 정책통 의원은 “증세 없는 복지를 공격했지만 어떻게 하자는 것이냐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은 자신 있게 얘기하지 못하고 있다”며 “누구나 얘기할 수 있는 총론적인 정치적 수사만 있을 뿐 각론이 없다”고 지적했다.
김 대표는 지난 3일 국회 연설에서 “복지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며 복지 지출 축소를 시사하는 발언을 했다. 일각에선 박근혜 대통령의 공약으로 시작된 무상보육 등 무상복지를 손질할 것이란 예상이 나왔지만, 이 점에 대해 방향이 불분명한 데다 지도부 간 생각도 다르다.
◆서로 다른 지도부 주장
김 대표가 언급한 ‘복지 구조조정’이 직접적인 복지 축소를 의미한다면 사실 여당으로선 가장 먼저 손댈 수 있는 것이 무상복지다. 소득 수준에 상관없이 대다수에게 복지 혜택을 주는 기초연금이나 무상보육, 무상급식 등이 대상이다. 새누리당은 이미 무상급식 및 무상보육과 관련한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고 있으며 3월 말께 대안을 내놓을 계획이다. 경우에 따라선 기초연금 수혜대상(현재 소득 하위 70%)을 줄이거나 무상보육·급식 대상자를 축소할 수도 있다.
하지만 유승민 원내대표 생각은 차이가 있다. 유 원내대표는 복지 수준을 지금보다 늘려야 한다는 관점을 갖고 있다. 그는 지난 3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고령화 속도와 성장률 추이를 감안하고 양극화 해소도 달성하려면 ‘중부담-중복지’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정치적 수사만 난무
김 대표는 ‘복지 구조조정’을 언급했지만 구조조정이 구체적으로 뭘 의미하는지는 모호하다. 김 대표는 “복지 지출의 중복과 비효율을 없애야 한다”고 설명했지만 이 정도라면 복지 축소와는 거리가 있다. 여당 관계자는 “김 대표의 복지 구조조정은 복지 지출을 줄이자는 것보다는 전달체계 과정에서 낭비되는 지출을 줄여보자는 것”이라며 “선거가 없는 해라지만 표를 깎아먹는 복지 축소를 당 대표가 어떻게 주장할 수 있겠느냐”고 했다.
정부 관계자는 “지출의 중복과 비효율을 없애자는 것은 현 정부도 줄기차게 추진하고 있는 정책”이라며 “이를 복지 구조조정이라고 표현한다면 정치적 수사와 다를 바 없다”고 꼬집었다.
유 원내대표도 ‘중부담-중복지’가 가야 할 방향이라고 얘기하면서도 증세를 추진할 것이냐는 질문에는 “증세론자가 아니다”며 앞뒤가 맞지 않는 주장을 펴고 있다.
◆정책통 의원들도 엇갈려
지도부가 제시하는 해법에 대한 당내 정책통 의원들의 의견도 엇갈린다. 이한구 의원은 “중부담-중복지는 세금 올려서 복지를 늘리자는 것인데, 우리나라 경제구조에서는 굉장히 위험한 생각”이라며 “복지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부터 시작해야지 덜컥 법인세도 원점에서 재검토할 수 있다고 얘기하면 경제 방향 자체가 꼬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강석훈 의원도 “아직은 세금을 걷지 않고도 공약에서 제시한 복지를 맞추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하는 시점”이라며 “증세 논의보다는 어떻게 하면 경제를 빨리 활성화해 세수를 늘릴 것인가에 대한 대안을 찾는 데 우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비해 나성린·이종훈 의원 등은 “박근혜식 증세가 한계에 도달했으니 증세를 본격 논의해야 한다”며 “무상복지도 손보고 증세도 진지하게 검토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정종태/조수영/은정진 기자 jtch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