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유가가 세계성장률 0.3∼0.7%p 제고…부정적 요인으로 상쇄돼"

국제통화기금(IMF)은 6일(현지시간) 올해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이 전년보다 3.7%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IMF는 이날부터 이틀간 터키 이스탄불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총재 회의에 제출한 'G20 글로벌 전망과 정책 도전'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IMF가 지난해 10월 세계경제전망(WEO) 보고서에서 예측한 4.0%보다 0.3%포인트 하향조정된 것이다.

이는 아울러 지난달 한국은행이 발표한 예상치(3.4%)보다는 0.3%포인트 높고 기획재정부가 내놓은 예상치(3.8%)보다는 0.1%포인트 낮은 수치다.

IMF는 또 우리나라의 내년 성장률은 3.9%로 지난해 10월 전망(4.0%)보다 0.1%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성장률은 3.5%로 추정돼 역시 이전 보고서(3.8%)보다 0.3%포인트 하향조정됐다.

IMF는 보고서에서 이런 전망을 담은 도표를 싣고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낮춘 사유나 한국 경제에 대한 별도 진단·분석 등은 제시하지 않았다.

앞서 IMF는 지난달 새 WEO 보고서를 내면서 대부분 G20 회원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담았으나 한국은 포함하지 않았다.

IMF는 지난달 보고서에서 올해 세계 평균 경제성장률을 3.5%로 지난해 10월 보고서보다 0.3%포인트, 개발도상국 및 신흥국은 4.3%로 0.6%포인트 각각 낮춰잡은 바 있다.

한편, IMF는 이날 보고서에서 저유가가 민간 부문 수요 증가를 촉진함으로써 세계 평균 성장률을 0.3∼0.7%포인트 끌어올릴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이런 긍정적인 효과는 중기 성장률 전망 하향에 따른 투자 감소 등 부정적 요인으로 인해 상쇄될 것으로 점쳤다.

보고서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등에 따른 금융시장 불안 등이 하방 위험 요인이고 유로존과 일본의 스태그네이션 및 저인플레도 우려스러운 점이며 지정학적 리스크도 계속 높은 상태"라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G20 국가 모두 성장을 촉진하고 위험을 완화하기 위한 강력한 정책 수단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구 체적으로는 선진국의 경우 경기 부양책을 지속하고 이머징마켓(신흥국)은 성장 촉진 정책을 쓸 여지가 제한된 만큼 저유가에 맞춰 잠재 성장률을 높일 수 있도록 생산성 향상, 인구 고령화에 대비한 노동 참여율 제고 등의 구조 개혁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워싱턴연합뉴스) 강의영 특파원 keyke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