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치권에서 진행중인 불법체류자 관련 논쟁이 미국의 안보 자체와 결부돼서는 안된다고 제이 존슨 미 국토안보부(DHS) 장관이 주장했다.

존슨 장관은 8일(현지시간) 미국 CNN에 출연해 “의회에서 이민개혁 문제에 대해 논쟁을 하겠다면 그렇게 해야겠지만, 그 문제를 미 국의 국토 안보에 연결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의 발언은 지난해 12월 미국 의회에서 잠정예산 형식으로 처리된 DHS 예산 의 효력이 오는 27일까지지만, 정치권에서 좀처럼 이 문제에 대한 해결의 실마리가 나타나지 않는 가운데 나왔다.

미국 의회 에서 상·하 양원을 장악한 공화당은 최대 500만명의 성인 불법체류자를 구제하겠다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지난해 11월 행정명령 을 무산시키면서 아동·청소년의 추방을 유예하는 2012년 행정명령은 유지하자는 수정안을 제안했다.

공화당은 이 법안을 통 과시키기 위해 지난 3일부터 이틀동안 상원에서 절차투표를 실시했지만, 찬성표가 필리버스터(합법적 의사진행 방해)를 피하는 데 필요 한 60표에 미치지 못해 부결 처리됐다. 존슨 장관은 CNN 인터뷰에서 “최근 매일 의원들을 만나 (DHS 예산 처리의 필요성 을) 설득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는 14일부터 22일까지 미국 상원이 일시 휴회하기 때문에, DHS 잠정예산의 시한인 오는 27일 이전에 예산을 처리할 수 있는 시기는 8일만 남은 상태다.

정치 분석가들은 2013년말의 ‘셧다운(정부 부분업무정지)’ 사태 때 여론의 따가운 시선을 받았던 공화당이 DHS의 ‘미니 셧다 운’을 막지 못한다면 상·하 양원을 장악한 상태에서도 국정을 제대로 운영하지 못한다는 비난을 받을 수 있다는 견해를 보였다.

특히 최근 잇따른 해킹 사건으로 사이버보안에 대한 우려가 높아진 상황에서 미국 정부 전산망의 통합 침입감시 업무를 맡은 DHS 가 ‘셧다운’된다면 공화당의 정치적 부담이 될 것이라고 분석가들은 내다봤다.

DHS는 정식 예산안이 처리되지 못하면 연방재난관리청(FEMA) 직원의 80%를 포함한 약 3만 명의 DHS 직원을 일시해고시켜야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