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한국 경제 회복세, 회원국 중 2번째로 높을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오는 6월 한국의 경제 회복세가 34개 회원국 중 두 번째로 높을 것으로 전망했다.
11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OECD는 지난 9일 발표한 지난해 12월 기준 경기선행지수(CLI) 동향 보고서에서 한국의 CLI를 101.9로 1개월 전보다 0.4%포인트 상향조정했다.
CLI는 6개월 뒤 경기흐름을 예측하는 지표다. 100을 넘으면 경기 확장을 의미한다. OECD는 재고순환지표, 주가지수, 장단기 금리차, 제조업경기전망 등의 지표를 종합해 각국의 CLI를 산출한다.
한국의 전월 대비 CLI 변동 폭(0.4%포인트)은 회원국 가운데 멕시코(0.44%포인트) 다음으로 높다.
한국의 CLI는 원지수 측면에서도 높은 축에 속한다.
지난해 12월 한국의 CLI(101.9)는 에스토니아(105.0), 슬로베니아(102.9), 그리스(102.8), 스페인(102.6), 스웨덴(102.4)에 이어 회원국 중 여섯 번째로 높다.
통상 CLI와 관련해서는 원지수보다 전월 대비 변동 폭이 앞으로 경기와 관련한 판단 근거로 활용된다.
한국의 경기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는 이유에 대해선 밝히지 않았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open@hankyung.com
11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OECD는 지난 9일 발표한 지난해 12월 기준 경기선행지수(CLI) 동향 보고서에서 한국의 CLI를 101.9로 1개월 전보다 0.4%포인트 상향조정했다.
CLI는 6개월 뒤 경기흐름을 예측하는 지표다. 100을 넘으면 경기 확장을 의미한다. OECD는 재고순환지표, 주가지수, 장단기 금리차, 제조업경기전망 등의 지표를 종합해 각국의 CLI를 산출한다.
한국의 전월 대비 CLI 변동 폭(0.4%포인트)은 회원국 가운데 멕시코(0.44%포인트) 다음으로 높다.
한국의 CLI는 원지수 측면에서도 높은 축에 속한다.
지난해 12월 한국의 CLI(101.9)는 에스토니아(105.0), 슬로베니아(102.9), 그리스(102.8), 스페인(102.6), 스웨덴(102.4)에 이어 회원국 중 여섯 번째로 높다.
통상 CLI와 관련해서는 원지수보다 전월 대비 변동 폭이 앞으로 경기와 관련한 판단 근거로 활용된다.
한국의 경기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는 이유에 대해선 밝히지 않았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