꽉 닫힌 지갑…지난해 소비성향 72.9% '역대 최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기 부진에 가계 씀씀이가 줄면서 지난해 평균소비성향이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역대 최저치로 떨어졌다.
1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4년 4분기 및 연간 가계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평균소비성향은 72.9%로 전년보다 0.4%포인트 하락했다.
평균소비성향은 처분 가능한 소득에 대한 소비 지출액의 비율을 뜻한다. 쓸 수 있는 돈이 100만원인데 72만9000원만 썼다는 의미다.
이는 통계청이 이 지표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3년 이래 가장 낮다.
평균소비성향이 낮아진 것은 지출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에 못 미치기 때문이다.
지난해 연간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3.4% 늘었지만 월평균 지출은 2.9% 늘어나는데 그쳤다.
특히 소득 수준이 낮은 계층의 평균소비성향이 큰 폭으로 떨어졌다. 하위 0~20%인 1분위의 평균소비성향은 104.1%로 1년 전보다 7.8%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상위 0~20%인 5분위는 61.6%로 0.4%포인트 증가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1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4년 4분기 및 연간 가계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평균소비성향은 72.9%로 전년보다 0.4%포인트 하락했다.
평균소비성향은 처분 가능한 소득에 대한 소비 지출액의 비율을 뜻한다. 쓸 수 있는 돈이 100만원인데 72만9000원만 썼다는 의미다.
이는 통계청이 이 지표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3년 이래 가장 낮다.
평균소비성향이 낮아진 것은 지출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에 못 미치기 때문이다.
지난해 연간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3.4% 늘었지만 월평균 지출은 2.9% 늘어나는데 그쳤다.
특히 소득 수준이 낮은 계층의 평균소비성향이 큰 폭으로 떨어졌다. 하위 0~20%인 1분위의 평균소비성향은 104.1%로 1년 전보다 7.8%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상위 0~20%인 5분위는 61.6%로 0.4%포인트 증가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