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2월 기준금리 동결…4개월 연속 年 2.00% 유지(상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2월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금통위는 17일 오전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인 연 2.00%에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지난해 10월 이후 4개월째 동결 기조다.
시장에서도 일찌감치 한은의 금리 동결을 점쳤다. 한국금융투자협회가 채권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114명의 응답자 중 91.2%가 한은의 금리 동결을 전망한 것.
전문가들은 "금리를 추가 인하할 경우 가계부채 증가와 자본유출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존재한다"고 내다봤다.
금통위가 금리를 동결한 결정적 배경으로는 가계부채가 꼽힌다. 최근 저금리와 정부의 부동산 금융규제 완화로 가계부채가 급증하는 가운데 금리 인하를 단행할 시 추가 악화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1월말 현재 가계에 대한 예금은행의 가계대출(모기지론 양도분 포함) 잔액은 562조3000억원으로, 전월대비 1조4000억원 늘었다. 문제는 이 집계가 2008년 시작된 이래 1월에는 항상 감소세를 기록해왔으나 올해는 증가세를 보였다는 것.
한은에서는 이례적인 일로 보고 있으며 주택거래 호조로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이어졌다는 설명이다. 지난달말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409조4000억원으로 전월보다 2조5000억원 늘었다.
금통위원들도 가계부채 증가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동결했던 지난 1월 금통위 본회의에선 "가계부채가 큰 폭의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어 금융안정 차원의 억제 방안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여기에 그동안 금리 인하를 우회적으로 압박했던 정부가 국내 경기 상황에 대해 비교적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고 '구조개혁'에 정책 초점을 맞추면서 한은은 부담을 덜게 됐다.
김문일 유진투자선물 연구원은 "가계부채도 문제지만 금리 인하 효과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한은이 나설 이유는 없다"며 "설 연휴 예정된 미국 중앙은행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사록 공개는 오히려 금리 인상 재료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저물가 기조에 따른 디플레이션(물가하락+경기침체) 우려와 세계 각국의 통화완화 정책 시행으로 한은의 추가 금리 인하 기대감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권영선 노무라증권 연구원은 "정책당국자들이 가계부채보다 경제의 하방위험에 대해 더 우려할 것"이라며 "디플레이션 위험에 맞서 오는 4월과 7월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세계 각국의 중앙은행들은 자국의 경기부양과 통화방어를 위해 잇따라 돈풀기에 나서고 있다.
유럽중앙은행(ECB)이 양적완화 정책을 발표한 이후 싱가포르도 통화완화정책을 전격 발표했으며 덴마크와 캐나다, 스웨덴, 호주중앙은행은 줄줄이 금리를 인하하고 있다.
김명실 KB투자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경제가 통화완화정책이라는 한 목소리를 내고 있는 점은 주목해야 한다"며 "유행처럼 번져나고 있는 완화기조를 국내도 간과할 수 없다는 점에서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은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한경닷컴 채선희 기자 csun00@hankyung.com
금통위는 17일 오전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인 연 2.00%에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지난해 10월 이후 4개월째 동결 기조다.
시장에서도 일찌감치 한은의 금리 동결을 점쳤다. 한국금융투자협회가 채권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114명의 응답자 중 91.2%가 한은의 금리 동결을 전망한 것.
전문가들은 "금리를 추가 인하할 경우 가계부채 증가와 자본유출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존재한다"고 내다봤다.
금통위가 금리를 동결한 결정적 배경으로는 가계부채가 꼽힌다. 최근 저금리와 정부의 부동산 금융규제 완화로 가계부채가 급증하는 가운데 금리 인하를 단행할 시 추가 악화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1월말 현재 가계에 대한 예금은행의 가계대출(모기지론 양도분 포함) 잔액은 562조3000억원으로, 전월대비 1조4000억원 늘었다. 문제는 이 집계가 2008년 시작된 이래 1월에는 항상 감소세를 기록해왔으나 올해는 증가세를 보였다는 것.
한은에서는 이례적인 일로 보고 있으며 주택거래 호조로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이어졌다는 설명이다. 지난달말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409조4000억원으로 전월보다 2조5000억원 늘었다.
금통위원들도 가계부채 증가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동결했던 지난 1월 금통위 본회의에선 "가계부채가 큰 폭의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어 금융안정 차원의 억제 방안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여기에 그동안 금리 인하를 우회적으로 압박했던 정부가 국내 경기 상황에 대해 비교적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고 '구조개혁'에 정책 초점을 맞추면서 한은은 부담을 덜게 됐다.
김문일 유진투자선물 연구원은 "가계부채도 문제지만 금리 인하 효과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한은이 나설 이유는 없다"며 "설 연휴 예정된 미국 중앙은행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사록 공개는 오히려 금리 인상 재료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저물가 기조에 따른 디플레이션(물가하락+경기침체) 우려와 세계 각국의 통화완화 정책 시행으로 한은의 추가 금리 인하 기대감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권영선 노무라증권 연구원은 "정책당국자들이 가계부채보다 경제의 하방위험에 대해 더 우려할 것"이라며 "디플레이션 위험에 맞서 오는 4월과 7월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세계 각국의 중앙은행들은 자국의 경기부양과 통화방어를 위해 잇따라 돈풀기에 나서고 있다.
유럽중앙은행(ECB)이 양적완화 정책을 발표한 이후 싱가포르도 통화완화정책을 전격 발표했으며 덴마크와 캐나다, 스웨덴, 호주중앙은행은 줄줄이 금리를 인하하고 있다.
김명실 KB투자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경제가 통화완화정책이라는 한 목소리를 내고 있는 점은 주목해야 한다"며 "유행처럼 번져나고 있는 완화기조를 국내도 간과할 수 없다는 점에서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은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한경닷컴 채선희 기자 csun0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