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기술(IT) 업계 강자인 애플이 전기자동차 산업에 뛰어들 채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미국 자동차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다수의 언론 보도에 의하면 애플은 '타이탄'으로 명명한 특수사업부를 만들었으며 여기에 배치된 수백명의 인력들이 2020년을 목표로 전기차 개발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기차 개발설에 대해 애플측은 함구하고 있으나 자동차용 배터리 업체인 123시스템스가 애플을 제소한 것이 간접적으로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123시스템스는 애플이 공격적으로 자사 인력들을 빼내가고 있다고 주장한다.

실리콘 밸리에 자리잡고 있는 테슬라는 현재 전기차 시장의 선두주자이며 온라인의 강자인 구글은 전기로 구동하는 무인자동차 개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미국 디트로이트를 거점으로 삼고 있는 제너럴 모터스(GM)과 포드, 크라이슬러 등 이른바 '빅3'는 실리콘 밸리에서 다가오는 위협을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모습이다.

댄 플로레스 GM대변인은 "이 회사(애플)의 엄청난 능력을 감안한다면 어느 누구에게도 놀라운 것은 못된다"고 말했다.

크라이슬러의 에릭 메인스 대변인은 "보지 못한 것에 논평할 수는 없다'고 답했다.

포드 측은 아예 논평을 회피했다.

하지만 실리콘 밸리의 중심인 팰로 앨토에 최근 연구센터를 열었다는 것은 이 회사가 자동차산업의 미래에 주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자동차산업 분석기업인 에드먼즈 닷컴의 애널리스트 빌 비즈닉은 "신차를 개발, 출시하는데 통상적으로 평균 7년이 걸린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디트로이트의 강자들이 현재로서는 심각한 압박을 받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비즈닉은 "애플이 미국 자동차 업계에 당장의 위협은 못된다"면서 "물량, 즉 판매대수라는 측면에서 애플이 사실상 가까운 장래에 현재의 디트로이트과 같은 수준을 향해 접근하기 시작할 것으로 보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켈리 블루 북의 시장 분석가인 알렉 구티에레스는 "애플의 강점은 기존의 산업 구도를 파괴하는 역할에 있다고 본다"면서 "소비자 가전 분야에서 형성된 폭넓은 생태계가 '애플 카'에도 확장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